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먼저 냄비에 물을 넣고 끓여요. 그리고 면과 스프를 넣어 익히지요. 이렇게 문제 해결 과정이나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해요.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기호와 도형으로 나타낸답니다. 코딩과 알고리즘을 배우면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예요. 초기 지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지구와 충돌한 소행성은 지구 속으로 들어가서 내부 성분이 되기도 하고, 지구에 큰 충격을 줘서 표면의 모양을 바꾸기도 하거든요. 무저 교수는 “브레드포트 돔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중요한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01955 베누에는 태양계 형성에 사용된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며, “태양계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멀리, 더 멀리! 루시와 프시케오시리스-렉스와 하야부사 2의 목표가 지구 근처의 소행성 탐사라면, NASA에서 개발 중인 탐사선 ‘루시’와 ...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까지 모두 모였어요. 각 팀이 지금까지 만든 중간 제작물과 과정을 발표하면 참가자와 멘토가 자유롭게 의견을 덧붙여 이야기하는 자리였어요. 좌절했던 경험담에는 박수를, 해결하고 싶은 문제에는 조언을 하며 그 열기가 뜨거웠답니다. 말벌로부터 꿀벌을 지켜주기 위해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태양과 아주 가까이에 있는 별들의 사진을 찍었어요. 이 별들의 빛은 지구를 향해 오는 과정에서 반드시 태양 곁을 지나게 돼요. 만약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태양 곁을 지나던 빛이 휘어져, 일식 때 측정된 별의 위치와 밤에 본 별의 위치가 달라야 해요. 실제 측정 결과 에딩턴은 둘 사이에 ... ...
- [과학뉴스] 마라톤 선수 똥에는 보물이 숨겨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먹은 음식물에서 영양분을 얻어 살면서, 인간의 신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을 돕는답니다. 이때 장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데, 비슷한 활동을 하거나 같은 음식을 먹는 등 조건이 비슷하면 같은 미생물을 갖기도 하지요.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 ...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살을 빼내고 그 안을 솜으로 채운 뒤 약품 처리를 한다”고 설명했어요. 하지만 이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심화교육에서는 형태를 고정하는 방법만 배웠지요. “표본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곤충의 몸 중앙에 해당하는 가슴부분, 또는 머리와 가슴이 만나는 곳의 부드러운 살에 표본용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그런데 최근 아프리카 케이프타운대학교 연구팀은 도도새의 다리뼈 화석을 분석해 성장 과정에 대한 단서를 찾아냈어요. 도도새처럼 날지 못하는 새의 뼈 단면은 3가지 층으로 나뉘는데, 나이에 따라 뼈에서 각 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져요. 성장하는 시기에는 뼈의 맨 안쪽 층의 비율이 가장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메이커 활동이에요. 이날 강연에서도 ‘데스크 팩토리’라는 기계로 팽이를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었지요. 하지만 모든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라고 해요. “생활 속에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은 약 6종류예요. 이 가운데 공업용인 ‘폴리염화비닐(PVC)’과 게임기, 대용량 물품 등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잘 날기 위해 몸무게를 줄이도록 진화하는 과정에서 근육이 퇴화되고 힘줄만 남았다고 추측할 뿐이지요. 한편 박쥐는 이렇게 오랫동안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어지럽지 않아요. 우리가 거꾸로 매달려 있을 때 어지러운 이유는 뇌에 산소가 부족해지기 ... ...
이전2902912922932942952962972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