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점점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압축돼요. 압축부를 구성하는 톱니 모양의 블레이드가 이 과정을 도와 주지요. 블레이드는 공기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해요. 그 결과 공기는 넓은 공간으로 나오지 못하고 계속 좁은 공간을 향해서 가지요. 이때 뒤따라서 들어오는 공기가 앞서 들어온 공기를 계속 ... ...
- [현장취재②] 기상천외 메이커, 메이와덴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메이와덴키(明和電機)는 자신을 ‘사장’이라고 불러 달라는 토사 노부미치 대표의 메이커 팀이에요. ‘명화전기’라는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전 ... 봤으면 좋겠어요. 노는 규칙을 정하고, 도구를 만들고, 그걸 가지고 다시 재미있게 노는 과정이 바로 ‘메이커’ 활동이랍니다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 다이메틸설폭시화물(dimethyl sulfoxide)의 약자로,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에 들어가 냉동과정에서 세포가 망가지지 않도록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북극 효모에서 결빙방지단백질을 찾다!최근 과학자들은 결빙방지단백질에 주목하고 있어요. 결빙방지단백질은 지난 1969년 미국의 동물학자인 아서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세포에 들어 있는 소기관을 분석하고 수리하기 위해 움직임이 매우 정교해야 해요. 이 과정에서 정보를 외부로 보내고, 외부에서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호를 안으로 보내 주는 원격 통신 기술도 필요하지요. 세포의 대부분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노 로봇이 직접 단백질을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같은 태양이라도 표면과 안쪽 부분인 중심핵의 회전 속도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그동안 태양의 표면과 중심핵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 ... 형성 과정을 알아낼 수 있는 단서가 된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태양의 형성 과정을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온실에서 키운 결과, 싹이 트고 꽃을 피울 수 있었답니다. 이정윤 연구사는 “이 과정은 냉동 인간 해동 기술과 똑같다”면서 “아직 식물세포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냉동 인간 해동 기술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답니다. 얼렸던 토끼 뇌 복원 성공!동물의 ... ...
-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 됐어요. 앞으로 고리 1호기는 5년간의 준비 과정을 거친 뒤, 본격적으로 해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에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는 15년 이상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그 자리에는 ●동결방지제를 채워 넣는답니다. ●동결방지제 : 몸을 차갑게 얼리는 과정에서 세포가 망가지지 않도록 넣어 주는 물질. 동결방지제가 다 채워지면 급속 냉동으로 영하 79℃까지 온도를 낮춰요. 며칠 뒤, 시신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영하 196℃의 액체질소 캡슐에 보관하지요. ... ...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담가 안전하게 보관하며 식혀야 해요. 열과 방사선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드는데, 이 과정에 5년이 걸린답니다. 그리고 나면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들어가게 돼요. 바로 원자력 발전소 내부에 때처럼 낀 방사성 물질들을 제거하는 ‘제염’ 작업이지요. 먼저 연료를 뺀 원자로의 배관에 화학물질을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용해 탑의 뼈대를 세워요. 그 다음 수많은 붉은 불개미가 탑의 빈 공간을 채우지요. 이 과정이 끝나면 새로운 개미가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탑을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만들어요.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붉은 불개미는 삼각형 모양의 탑을 완성한답니다.연구팀은 탑의 모양과 각 층의 지름, 한 층에 ... ...
이전291292293294295296297298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