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뉴스
"
필자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반박하는 미국 듀크대 해럴드 에릭슨 교수팀의 논문이 실린 것. 논문을 몇 줄 읽는 순간
필자
는 ‘아차’싶었다. 그 이유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이리신에 대해 잠깐 언급한다. 이리신은 아미노산 112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로 인슐린이나 렙틴 같은 펩티드(작은 단백질) 호르몬으로 분류한다. 다만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대조군은 40% 대). 체중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필자
는 유화제가 직접 점막에 영향을 미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장내미생물이 없는 무균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보니 그런 건 아닌 것 같다. 즉 이 녀석들은 맹물을 먹으나, 유화제를 탄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하고 있는 거다. 언제든지 휴대전화를 위로 던져 올릴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면 이 싸움은
필자
의 완승이다. 평범한 사람도 지구를 쉽게 이길 수 있을 정도로 중력은 정말 작다. 우리는 매일 지구의 중력을 느끼지만, 어느 누구도 옆 사람이 우리를 당기는 중력을 느끼는 사람은 없다. 중력에는 다른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보통 예비군훈련 강의는 ‘취침시간’이지만 이때는 다들 눈이 초롱초롱했고
필자
역시 너무 인상이 깊어 두고두고 머리에 남았다. 사람들은 살인사건 하면 조폭이나 강도들을 떠올리지만 실제 사건을 보면 평범한 사람들이 살인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상당수가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아니라는 위안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암 발생 대부분은 진화의 부작용일 뿐
필자
가 보기에는 참신한 연구에 메시지도 좋았는데 왜 이렇게 격렬한 반발을 불러왔을까. 서신들을 읽어보니 주로 실험설계를 잘못했다는 지적과 해석이 틀렸다는 언급이다. 첫 서신은 환경의 역할을 강조한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오직 관측 가능한 물리량만으로 양자역학을 기술해야한다는 혁명적인 생각이었다(
필자
도 봄마다 같은 병으로 고생하는데, 한 번도 이런 아이디어가 떠오른 적은 없다). 당시 하이젠베르크의 나이는 불과 25세였다. 하이젠베르크의 10대는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독일의 혼란으로 점철되어 있다. ... ...
[Health&Beauty]“3D 프린터로 맞춤형 장기 찍어 낼 날 올것”
동아일보
l
2015.02.11
[이진한 의사·기자의 따뜻한 의료기기 이야기] 진화하는 3D 프린팅 의료기술 얼마 전
필자
는 동아일보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3차원(3D) 프린팅 교육을 들었습니다. 3D 프린터를 활용한 기술이 의료에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관심이 많았습니다. 3D 프린터를 단순히 집에서 흔히 사용하는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가설이 나와 있지만 아직 결정적인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지는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필자
가 막연히 생각한 것처럼 지구가 형성될 때 물이 있었던 건 아닌 게 거의 확실하다. 대신 지구가 형성되고 수천만 년 사이 수분을 함유한 외부천체가 지구에 쏟아져 들어오면서 물이 축적된 것. 외부천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행동연쇄가설(behavioural-cascade hypothesis)’라고 부른다.
필자
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야생동물연구단위의 매튜 카우프먼 박사팀은 리플 교수팀의 ... ...
[기고/남승일]세계가 북극으로 몰려드는 까닭은
동아일보
l
2015.01.29
동아일보]
필자
를 포함해 전 세계 10개국에서 참여한 과학자와 승조원 등 총 90명이 승선한 1만8000t급 독일 쇄빙선 ‘폴라르스테른’호가 2014년 8월 5일 아침 북위 70도에 위치한 노르웨이 트롬소 항을 출발했다. 전인미답 해역인 알파 해령과 로모노소프 해령을 탐사하기 위해서다. 북위 82도를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