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뉴스
"
필자
"(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책으로
필자
가 1995년 구매했다. 무려 19년 만에 다시 책상위에 놓인 것이다. 차례를 보니
필자
의 기억이 정확했다. 5장에서 53쪽에 걸쳐 1976년 에볼라가 등장하던 상황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다른 장들 곳곳에서도 에볼라를 언급하고 있다. 이야기가 너무 심각하고 긴박해서 ‘손에 땀을 쥐며’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정확히 모르지만 뇌전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필자
가 다소 장황하게 ‘네이처’의 뇌전증 특집을 소개한 건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을 뿐 아니라 수천 년에 걸친 편견으로 일반인 뿐 아니라 의사조차도 왜곡된 시각에서 자유롭지 못할지 모른다는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어떤 식으로든지 순간적으로 입자 B에 영향을 준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필자
같은 보통 사람이 보기엔 “달을 쳐다보기 전에는 달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양자역학의 입장은 억지라는 아인슈타인의 주장이 당연해보이지만 놀랍게도 양자역학이 너무나 많은 실험결과를 멋지게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책에 로버트슨이 ‘타르틴 빵(Tartine Bread)’이라는 책을 펴냈다는 내용이 있다. 결국
필자
는 이 책을 사고야말았는데, 받아보니 너무나 아름다운 책이었다! 하드커버이면서도 속에 쿠션을 넣어 마치 빵처럼 폭신폭신한 이 책은 요리학교를 다니던 한 청년이 우연히 현장실습을 간 천연발효종 빵집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정도로 사람들이 ‘SNS앓이’를 하는 것도 어찌 보면 편집권에 대한 열망 아닐까(물론
필자
본인의 생각일 뿐이다). 내 콘텐츠를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고(즉 편집당하지 않고) 그대로 가상의 무대로 내보내 사람들의 평가 또는 인정을 받을 수 있다는 매력 말이다. SNS 공간은 편집권 ‘민주화’의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Can fish really feel pain?)’라는 제목의 37쪽에 이르는 긴 논문을 기고하기도 했다. 솔직히
필자
는 논문을 읽지는 못했지만(브라운 교수의 논문도 17쪽 짜리다!), 요지는 물고기의 뇌에는 신피질이 없기 때문에 의식도 없다는 것. 즉 물고기는 뇌에 인지적 복합성이 자리 잡을 하드웨어가 없기 때문에 ... ...
똑똑한 원숭이가 군림하는 세상, 실제로 올 뻔했다?
과학동아
l
2014.06.22
사람들이 기생충에 감염되길 바라는 것이 아니라 기생충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이
필자
들의 바람이다. 지구상의 생물 중 절반 가량이 기생 생활을 하고 있는 만큼 만약 기생충에 대해 관심이 사라진다면 지구에 생존하는 생물 절반에 대한 이해를 포기한다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있으므로)을 액면 그대로 믿기는 어렵지만, 1일1식 같은 방법보다는 꽤 그럴듯해 보인다.
필자
는 BMI가 19가 채 안 돼 굳이 분류하자면 저체중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다이어트 측면이 아니라 진화적 관점의 건강 증진 측면에서 한 번 해보고 싶은 충동이 든다. 물론 5:2 다이어트는 무리일 것이고 6:1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공급받을 수 있다. 미량만이 필요한 다른 원소들처럼 브롬 역시 과유불급이다.
필자
는 20여 년 전 유기화학 실험을 할 때 브롬이 불임을 유발하는 기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상온에서는 브롬은 산소처럼 두 원자로 이뤄진 분자(Br2)로 존재하는데, 적갈색 액체이지만 끓는점이 58.8도이기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모른다고 발표했지만 다른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에 아직은 때 이른 감이 있다.
필자
들은 글 후반부에서 암흑물질의 후보를 좀 더 확대해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뿐 아니라 좀 더 ‘따뜻한(warm)’, 즉 입자의 속도가 다소 빠른 암흑물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