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 지식과 사고력이 평가 기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출제된다. 게다가 과학Ⅱ 내용도 포함해 출제되기 때문에 단순히 수능 준비만으로는 기
본
기를 닦는 데 한계가 있다. 모든 문항에서 높은 점수를 확보하려면 수능에서 선택하지 않은 과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이는 교과서 학습과 독서를 통해 가능하며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는 만큼 체계적인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호주의 공동연구자들은 100년 동안 에탄올 속에 보관돼 있던 태즈메이니아 호랑이 태아 견
본
에서 DNA를 추출해 연골세포에서만 발현하는 쥐의 Col2a1 유전자의 앞에 있는 조절부분에 해당하는 서열을 찾았습니다. 그 뒤 이 부분에 시약에 염색이 되는 단백질 유전자를 붙여 쥐의 수정란에 넣었습니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때 일몰, 일출시간 기준으로 작성한다.) 2) 보름달에 나타나는 무늬를 북반구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 숫자는 달의 지형 가운데 바다를 나타내며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①은 풍요의 바다 ②는 감로주의 바다 ③은 위난의 바다 ④는 고요의 바다 ⑤는 맑음의 바다 ⑥은 비의 바다 ⑦은 폭풍우의 바다 ... ...
구글 검색등수가 신뢰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정보를 찾아보기 위해서 각종 포털을 검색해
본
사람은 구글(Google)이 다른 포털과는 다르다는 점을 느꼈을 것이다. 대부분의 포털은 화면에 특정 검색어를 집어넣었을 때 보여주는 순서가 사람들이 기대하는 순서와 다르다. 광고비를 내는 회사가 검색결과 앞부분에 뜨도록 해주는 경우가 있기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덧붙였다. 아울러 작토르 박사는 “PKM제타가 여러 다른 형태의 기억을 저장하는데 기
본
물질임을 보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영상으로 보는 과학 ① www.youtube.com/watch?v=Y1rZqw5bXb4 : 최근 영미권에서는 포스트잇을 활용해 놀이도구로 사용하는 유행이 일고 있다. 질량과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 모임을 이끌던 의학교수 로버트 그랜트의 역할이 컸다. 그랜트 교수는 모든 동물이 기
본
적으로 비슷한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다만 고등동물은 그 구조가 더 복잡할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원시적인 형태의 동물 구조를 공부함으로써 인간의 기관과 조직의 기원을 알 수 있다고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70분의 1.세계에서 영토가 가장 넓은 나라인 러시아(1707만km2)에 비하면 면적이 10만km2가 채 안 되는 우리나라(남한)는 ‘자투리 땅’이라고 ... 350만 부가 판매되는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4년 시작한 ‘하늘에서
본
한국’ 프로젝트로 우리나라에 남다른 애정을 느낀다고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악취가 나는 인톨, 스카톨, 황화수소 같은 성분이 있다. 서열 관계를 바로잡으려면?개는
본
능적으로 서열을 정하지만 서열이 정해지면 우두머리에게 복종하는 습성도 있다. 그래서 서열을 바로잡으면 개의 문제 행동 중 많은 부분을 고칠 수 있다. 우선 밥상이나 식탁에서 개와 같이 밥을 먹거나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놓고 바라
본
다. 한 눈으로는 망원경을 통해 작은 원을 보고 다른 쪽은 맨눈으로 큰 원을
본
다. 20배율 망원경이 제작자의 의도대로 만들어졌다면 두 원은 똑같은 크기로 보일 것이다.” 갈릴레이는 30배율 망원경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사랑의 어머니는 신티아의 모습을 모방한다”갈릴레이는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연결한다면 지상에서보다 훨씬 큰 구경 효과를 낼 수 있다. 2012년 발사 예정인 일
본
의 우주전파망원경 아스트로-G는 최대 3만 6000㎞의 궤도를 돌게 된다. 지상과 연결에 성공한다면 구경이 지구보다 큰 망원경이 우주에 떠 있게 되는 셈이다. 천체망원경 상식우주를 더 자세히 보기 위한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