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생물이 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뱅어포가 신종 생물?뱅어포라는 식품을 한 번쯤 먹어
본
적이있을 것이다. 뱅어포는 흰베도라치의 새끼를 말려서 만든 식품이다. 뱅어포를 만들어 먹은 지는 아주 오래됐지만 뱅어포의 재료인 흰베도라치가 신종 생물임이 밝혀진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무심코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송편해 씨의 발을 부여잡고 닭똥 같은 눈물을 뚝뚝 흘리는 백설귀 씨. 이를
본
송편해 씨의 마음이 점점 녹기 시작한다. 하지만 새카맣게 타버린 방앗간을 보니 다시마음이 얼어가고…. 이를 눈치챈 닥터고글이 재치 있는 제안을 한다.“그러면 두 분이 옥도끼 방앗간을 함께 운영하시는 건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대표하는 상징성 덕분에 천연기념물이 되었단다. 어때? 생각해 보니 나처럼 생긴 나무,
본
적 없지? 나뿐만 아니라 많은 나무들이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하지만 아무나 되는 건 아니야. 아무데서나 볼 수 없는 고유성과 그 나무만이갖고 있는 독특한 사연과 의미가 있어야 하지. 이건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이효리가 여기 있다고? 아무리 찾아도 안 보이는데?”눈을 씻고 찾아봐도 S라인의 효리는 보이지 않는다! 눈을 휘둥그레 뜨고 살펴봐도 소녀 팬을 몰고 다니는 잘생긴 강타 ... 특수 분장을 했는지 살펴봐. 어디서도 특수분장을 한 티를 못 찾았다고? 그럼 최고의 특수 분장을
본
거란다 ... ...
피닉스, 화성 탐사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퍼 올린 흔적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어요. 또 작은 사진(원)은 현미경으로
본
화성의 흙 표
본
사진이고요. 붉은 화성의 흙 아래서 나온 흰색 물질이 보이나요? 혹시 얼음이 아닐까요? 계속해서 보내올 화성 소식이 더욱 기다려지네요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친구들도 다들 평소에 게임을 즐기고 있더라고. 잠시 후, 분위기가 화기애애해지자
본
격적으로 인터뷰가 시작되었어. 바른 게임 생활을 위한 지침서그러면 바른 게임 생활이란 무엇이고, 바른 게임 생활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명예기자들이 직접 스쿨존 사이트를 체험하며 바른 게임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다나카 군. 하지만 강태공 군에게 미안하다고 말을 하기 멋쩍은지 괜히 날치 탓을 해
본
다.“날치는 참치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예요. 그래서 참치 떼가 습격해 오면 재빨리 피해야 하죠. 하지만 날치는 참치보다 몸이 작고, 무시무시한 이빨도 없어요. 게다가 헤엄치는 속도도 느리지요.”“그럼 혹시 ... ...
지구 3배만 한 행성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안녕하세요? 그런데 제가 너무 멀리 오다 보니 여기가 어딘지 도대체 알 수가 없군요.
본
인 소개와 함께 이 곳의 위치를 좀 알려 주세요.지구에서 정말 멀리까지 와 주셨군요.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미국 노트르담대학교의 데이비드 베넷 박사팀이 발견한 MOA-2007-BLG-192Lb이라는 행성입니다. 이 곳은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해석했다. 즉 첫인상이 상대방에 대한 별다른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그 다음 상황을
본
능적으로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뜻이다.하지만 첫인상은 상대방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갖게 하는 부작용도 있다. 외모만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인종차별이나 외모지상주의는 대표적인 예다.하지만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식생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최 박사와 동료 연구사들이 영구방형구(식물군락의 표
본
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틀)를 설치하고 구획별로 식생도를 작성했다.“제주도에 오름이 380개 있지만 이처럼 정상부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는 9곳에 불과합니다. 올 가을은 유난히 가물어 물이 많이 줄었네요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