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속 철은 산소와 결합하지 않았을 때는 무색이지만 산소와 결합하면 보라색을 띤다.
개
맛과 같은 완족동물이 대표적이다.거머리와 같은 환형동물 중 일부는 혈액 속 클로로크루오린(Chlorocruorin)을 이용해 산소를 운반한다. 클로로크루오린에 산소가 결합하면 녹색을 띠기 때문에 혈액도 녹색으로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일반인도 쓸 수 있도록 뇌 신호로 생활 기기를 제어하는 플랫폼
개
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많은 연구팀이 뇌-컴퓨터 접속기술을 연구하고 있지만, 뇌라는 미지의 대상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가야 할 길이 먼 분야입니다. 뇌-컴퓨터 접속기술이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정신 활동을 제어할 수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11 총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만약 4
개
라면 총 24(=16)가지겠지? 시커모어는 큐비트가 53
개
니까 총 253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거지. 이 말은 이만큼의 계산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다는 뜻이야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계산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그리고 함수를 조금씩 변형하면 곡면이 두
개
로 갈라지거나, 합쳐지는 등 모양이 바뀌는 것도 쉽게 구현할 수 있지. 덕분에 더 자연스럽고 현실감 있는 장면을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었어. 겨울왕국을 만든 디즈니는 물론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10점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니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최고 점수는 219점인 셈이죠. 하지만 3
개
의 블록이 무작위로 나타나므로 전략을 세운다는 게 쉽지 않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가능한 높은 점수를 얻는 것! 완벽한 전략은 없지만, 경우의 수를 이용해 되도록 높은 점수를 얻는 전략을 알아봅시다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두
개
의 신호가 합쳐진 신호예요. 여기서 원하는 신호만 걸러낼 때 삼각함수의 그래프
개
념이 필요해요. 스마트 벨트에서 얻은 신호를 바탕으로 원하는 건강 정보를 얻을 때는 ‘회귀식’을 사용해요. 회귀식은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된다고 가정하고 두 변수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낸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탐사 활동을 영상 촬영하고, ‘메가시티스 숏닥스(Megacities ShortDocs)’라는 영화제에도 소
개
할 예정이에요. 다큐를 통해 시민참여과학 탐사 활동이 대도시에 사는 어린이들의 마음을 어떻게 변화시킬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싶어요. 7월쯤 촬영이 끝나고 다큐가 완성되면 다큐를 볼 수 있는 링크를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포갤 수 있는 두 도형을 ‘합동’이라고 표현해요. 큐즐을 이용하면 합동인도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지요. 이효성 대리님의 설명을 들은 친구들은 그때부터 작은 조각으로 합동인 큰 도형을 만들어 보았어요. 그리고 결국 친구들의 키만큼 커다란 로켓과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
개
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솜털 같은 몸의 깃털, 원시 조류의 날
개
깃털 등이었다. 날
개
깃털에서는 현재 새의 날
개
에 달린 깃털처럼 딱딱한 깃대를 중심으로 작은 가지가 뻗어져 나온 구조가 확인됐다. 깃털에서는 흡광 색소인 멜라닌이 포함된 멜라닌소체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어두운 색소가 침착된 깃털은 위장용으로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