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태연의 사계가 가장 잘 어울리네요! ● 추천 알고리듬의 양대산맥! 지금까지 제가 개발한 추천 알고리듬을 살펴봤어요. 그런데 네 가지 모두 ‘협업 필터링’과 ‘콘텐츠 기반 필터링’이라는 방법을 활용해 내게 맞는 정보를 추천합니다. 사실 IT 기반 모든 추천 서비스가 이 방법을 써요.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는 항상 소시지 모양이 최소 부피로, 경계가 되는 개수도 구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빽빽한 모양을 나눠 계산할 필요도 없고, 5차원 이상에 사는 사람들은 언제든 고민 없이 소시지 모양으로 선물을 포장하면 되는 거죠! 과연 이 추측은 ... ...
-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루빅스 큐브의 목표는 모든 면이 한 가지 색만 갖도록 퍼즐을 배열하는 것이지만, 9색 큐브의 목표는 모든 면이 9개의 색을 모두 갖도록 쌓는 것이다. 수 대신 색을 ... 활동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커팅 프린터와 3D프린터에 빠져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교구를 개발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두 개의 신호가 합쳐진 신호예요. 여기서 원하는 신호만 걸러낼 때 삼각함수의 그래프 개념이 필요해요. 스마트 벨트에서 얻은 신호를 바탕으로 원하는 건강 정보를 얻을 때는 ‘회귀식’을 사용해요. 회귀식은 어떤 변수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된다고 가정하고 두 변수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낸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2017년,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의 클레멘스 럼프 연구원이지름 15~400m 소행성 5만 개를 추락시키는 가상실험을 한 결과, 열과 돌풍이 일으키는 사망자 수가 가장 컸어요. 실제로 첼랴빈스크 사건에서 부상자들은 바깥에서 화상을 입거나, 돌풍으로 유리창이 깨져 얼굴을 다친 사례가 대부분이에요.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알을 모아 왔어요. 번식기마다 허가를 받고 통영 홍도와 울릉도, 백령도를 찾아가 각각 40개의 알을 채취했지요. 괭이갈매기 알이 해양 환경을 알아보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에요. 괭이갈매기는 해양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예요. 따라서 괭이갈매기 체내에는 먹이사슬을 거치며 축적된 해양의 오염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하려 초대한 건데 이렇게 사건까지 해결해주시니 감사해요.”별주부 장군은 꿀록과 개코를 파티장으로 안내했어요.“그 전에 한 가지만 여쭤볼게요. 문지기님, 혹시 수상한 사람을 보지 못하셨나요? 누군가 제 초대장을 들고 파티에 참석했을지 모르거든요.”꿀록이 주위를 둘러보며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솜털 같은 몸의 깃털, 원시 조류의 날개 깃털 등이었다. 날개 깃털에서는 현재 새의 날개에 달린 깃털처럼 딱딱한 깃대를 중심으로 작은 가지가 뻗어져 나온 구조가 확인됐다. 깃털에서는 흡광 색소인 멜라닌이 포함된 멜라닌소체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어두운 색소가 침착된 깃털은 위장용으로 ... ...
- 겨울꽃, 얼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히어로를 탄생시킬 영감을 던져줬다. 흔하지만 특별한, 세상 유별난 얼음의 과학을 소개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겨울꽃, 얼음Part1.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Part2.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인포그래픽] 빙하코아, 시추에서 분석까지 Part3. 잘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동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얼음 속에 있거나 얼음에 붙어 있는 물질들의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것이다. 강 교수는 이런 사실을 알아내 2018년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물리화학레터스’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jpclett.8b01825 결정 구조만 17가지지금까지 얼음 결정은 육각형이라고 계속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