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빠르게 만드는 방법이랍니다. 그래서 최근엔 자기력이 세고 오랫동안 그 힘을 유지할 수 있는 희토류 금속으로 영구자석을 만들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Part 2.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화려한 겉모습에 마음을 뺏긴 ‘고운산하늘소’(아래 사진)도 인상 깊었어요. 또 50년 동안 한국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루리하늘소’를 발견했을 때도 잊을 수 없답니다. 최웅: 하늘소 도감을 출간한 이후 새로 발견한 종인 ‘도깨비하늘소’와의 첫 만남도 생각나네요. 이 종은 처음 만났을 때 ... ...
-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타면 된다고 했는데….근데…, 이거 도대체 몇 층까지 올라가는 거지? 헉! 세상에 말도 안 돼! 고도 3만 6000km라고?! 으악! 이건 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잖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Part 2. 초고속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몸에 이식하는 수술도 예정돼 있어요. 이탈리아의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는 올해 안에 사람 머리를 다른 몸에 이식하는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띠게 돼요. 반대로 전자가 멀어진 수소는 양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지요. 이렇게 분자 안에서 전기적 성질이 양전하와 음전하로 나뉘는 것을 ‘극성’이라고 해요. 극성을 띤 물은 극성을 띤 물질을 녹이기 쉬워요. 예를 들어 극성을 띠는 설탕은 물에 들어가면 쉽게 녹아요. 물 분자의 산소(-)가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고양이의 천연 소화제, 괭이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때 이 풀을 찾아먹는 걸 보고 ‘괭이밥’이라 부르게 됐다고 해요. 고양이들이 소화가 안 될 때 괭이밥을 찾는 데엔 이유가 있어요. 괭이밥엔 옥살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등 산이 포함돼 있어 실제로 소화를 돕거든요. 소화기관인 위에서 단백질을 소화시키기 위해 위산을 분비하듯이 산 성분은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다 채워지면 급속 냉동으로 영하 79℃까지 온도를 낮춰요. 며칠 뒤, 시신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영하 196℃의 액체질소 캡슐에 보관하지요. 이제 환자는 냉동 인간이 된 채로 캡슐에 보관되어 다시 해동될 날을 기다리게 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후 얼렸던 줄기를 설탕물과 체액이 섞인 액체에 담갔어요. 그러자 줄기가 녹으면서 안에 들어 있던 동결방지제가 빠지고, 수분이 다시 채워졌지요. 이렇게 녹인 줄기를 일반 식물처럼 온실에서 키운 결과, 싹이 트고 꽃을 피울 수 있었답니다. 이정윤 연구사는 “이 과정은 냉동 인간 해동 기술과 ...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열대바다에서 온대바다까지 넘나들며 먹이를 찾기 때문에 주변 온도와 관계없이 몸 안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 몸 곳곳에 혈관이 분포해 있어 체온 손실을 줄일 수 있거든요. 다른 물고기와 달리 살이 붉은색인 것도 이 때문이랍니다. 너희가 그렇게 수영을 잘 한다며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습지가 잘 조성돼 있어요. 대원들은 뜰채로 습지 물을 떠올려 대야에 담아 봤어요. 그 안에는 습지의 포식자 장구애비, 부성애의 상징 물자라 등 여러 수서곤충과 황소개구리, 작은 물고기 등이 가득했어요! 우유니네 팀의 조원우(오산 원일초5) 대원은 “대야에 사마귀처럼 생긴 게아재비 및 여러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