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바늘 100개가 돋아 있는 모양이에요. 패치를 팔목에 붙인 뒤 20분이 지나면 바늘이 녹으며 안에 들어 있던 백신이 피부로 주입되는 원리지요. 패치의 미세 바늘은 설탕 성분으로 만들어져서 사람에게 해롭지 않아요. 또 바늘이 워낙 얇고 작기 때문에 신경세포가 통증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지요.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박멸해요.실험 결과, 야누스는 외부의 에너지 공급 없이 스스로 움직이며 15~20분 동안 작동했어요. 이 과정에서 물에 있던 대장균의 80%를 없앴지요. 또 야누스가 수명을 다하면 자석을 이용해 손쉽게 물 밖으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킬 걱정도 없어요.앞으로 이 입자 로봇을 이용하면 ...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싫다고 집 주인이 둥지 위나 아래를 막아 새끼들이 둥지에서 죽는 경우가 많았다”고 안타까워했답니다.이제, 우리가 지킬 차례!강연이 끝난 뒤 서식처 문제에 대한 토크쇼가 진행됐어요. 강연자와 참가자들은 서식처 파괴를 막을 수 있는 방법들을 함께 고민했지요. 장이권 교수님은 “가장 중요한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얼지 않은 거예요.● 피오르드 : 빙하가 깎아 만든 U자 모양 골짜기. 바닷물이 골짜기 안으로 들어와 만을 이룬다.하지만 바다로 추정되는 지역이 빙하에 꽁꽁 숨겨져 있다 보니 정확한 근거를 찾아내기가 어려웠어요. 이에 미국 콜로라도칼리지 제시카 베즐리 연구원팀은 전파 음향 측심법을 이용해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조심하라고 알려 주시고요. 생물을 좋아해서 탐사하는데, 생물을 죽이거나 다치게 하면 안 되니까요.우리는 생물을 좋아한다는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모였어요. 주변의 많은 생물을 서로 돕고 사는 친구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탐사해 보아요 ... ...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물로 마찰 줄이고, 짜릿함은 높이고!워터슬라이드는 물이 흐르는 미끄럼틀이에요. 물이 몸과 미끄럼틀 사이에서 마찰력을 줄여 속도를 더욱 높여 ...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 ... ...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연구팀은 가로세로 3cm 길이의 고무판에 문어의 빨판과 똑같은 구조를 만들었어요. 빨판 안쪽의 미세한 돌기도 그대로 재현했지요. 이 고무판은 0.5kg 정도의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접착력을 발휘했답니다. 또, 1만 번 이상 물체에 붙였다가 떼어내도 그 힘을 유지했지요.연구를 이끈 방창현 교수는 ...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날지 못하는 종이에요. 몸 양옆에 날개는 있지만, 퇴화해서 몸길이의 4분의 1 정도밖에 안 되거든요. 게다가 몸 크기는 최대 1m 정도인데, 체중은 4kg 정도나 된답니다. 땅에서만 생활하면 몸을 가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늘을 날아다니는 가마우지 종과 비교하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편이지요.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艹)’와 ‘곳간 균(囷)’을 합한 한자예요. 즉, 곳간 같은 지붕(갓)이 있는 버섯이나 곳간 안에 있는 풀(버섯) 등을 뜻하지요.광합성은 녹색 식물이 빛을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양분을 만드는 과정이에요. 광합성(光合成)이란 한자어에는 ‘빛(光)이 필요한 것들을 합해(合) 양분을 이룬다(成)’는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명확하다. 샌안드레아스 단층 때문이다. 태평양판과 북미 대륙판이 맞부딪쳐 만들어진 샌안드레아스 단층은 지금도 활발히 움직이며 지진의 불씨를 지피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14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낸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의 경험을 잊지 않았다. 이런 게 실감의 무게다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