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야"(으)로 총 3,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Early Career Scientists Conference, ECSC)가 한국에서 개최된다. ECSC는 국제적 협력이 필요한 연구분야에 젊은 과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능력배양프로그램으로써 매 회 약 100~130여명의 젊은 과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1999년 미국, 2012년 스페인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로 개최한다. 또한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문을 연 당시만 해도 노 박사는 연구활동에 많은 곤란을 겪고 있었다. 어류 육종이 전문 분야였음에도 안산의 KIOST 본원에서 연구하는 동안에는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웠다. 울진에서 찾은 기회 노 박사에게 울진의 동해연구소 발령은 가뭄의 단비였다. 울진은 동해의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유명한 더닝-크루거 이펙트(이 현상을 발견한 학자 두 명의 이름이다)에 의하면 어떤 분야에 대해 잘 모를수록 자신감이 높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무엇을 ‘조금’만 해 보아서 사실 잘은 모를 경우 자신이 뭘, 얼마나 모르는지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성을 쌓을수록 자신의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핵융합 분야의 협력을 ‘공동성명’에 포함시켜 발표했고, 1988년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에 ITER 위원회를 구성한다. 미국, EU, 러시아, 일본 등 핵융합 선진국들이 서로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상용화를 ...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2015.12.07
- 생물학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은 노화를 늦추기 위한 약리적 개입이 ‘어쩌면(if)’이 아니라 ‘언제(when)’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 ‘네이처’ 2013년 1월 17일자에 실린 리뷰논문에서. KBS 제공 ‘상근이’라는 개가 있었다. 그레이트 피레니즈 품종의 대형견으로 희고 풍성한 털에 점잖은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완료한 것도 한국이 처음이다. 이 같은 극저온 기술은 이제 핵융합 장치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LNG 선박, 인공위성 발사체, 적외선 감시 정찰, MRI, 극저온 수술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문센과 스코트가 영하 50~60℃의 ... ...
- 신규원전으로 알고 싶어진 에너지 시설에 대한 오해 BEST 5!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이는 전 세계 원전 운용국가들에도 통용되는 상황이다. 계속운전은 항공기나 철도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항공기의 경우 최초 운영허가기간 만료 후 특별점검을 통과하면 부품 공급이 계속되는 한 계속운전을 할 수 있다. 심지어 1940년대 구소련의 폴리카르포프가 제작한 I-16 항공기는 아직도 ...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1)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일에도 적극적이다. 프랑스 원전조달시장은 크게 원전운영 분야의 EDF, 원전 건설 및 제조분야의 아레바(Areva) 등 두개의 공기업과 다수의 중소기업을 포함한 부품공급업체로 구성돼 있으며 EDF와 아레바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정규모 이상의 계약내용은 국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2015.11.18
- 플라즈마 운전 모드를 뜻하는 H-mode의 세계 최장시간인 48초를 달성하는 등 핵융합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일궈낸 바 있습니다. 과연 2015년 올 해에는 어떤 새로운 도약을 보여주게 될지 매우 기대됩니다. 남은 기간 동안 무사히 실험을 진행하여 다시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할 도약을 보여줄 수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쓰기 쉽게 만드는 역할의 연구를 했던 오 단장이 이번에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를 집필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