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질병 잡는다 이렇게 다재다능한 나노기술의 쓰임 중에서도 그 활약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의료기술이다. 염기서열 분석, 생체이식소자, 약물전달 시스템, 생체 친화적 인공기관 제작, 나노센싱, 나노의료로봇, 나노 주사기 등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 자리를 잡은 타운스는 천체물리학으로 관심을 돌려 양자전자공학분야의 기술을 도입한 관측장비를 개발했다. 그는 성간 구름에 물과 암모니아 분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적외선 관측으로 우리은하 중심에 거대질량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내놓기도 했다. ... ...
- 성년식 앞둔 철도연, 한국형 철도 기술을 세계로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3
- 열차제어시스템, 고속철도, 철도노반시스템, 철도역사 개발 등 인도에서 직접 여러 분야에 협력을 제안해 온 만큼 공동연구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진행해갈 계획입니다. 이런 활동들이 우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의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지난 8월에는 태국 나라스완대학과 공동으로 제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수식화했고 퇴적물 속성작용(sediment diagenesis)이라는, 생물적 화학적 과정이 개입되는 분야를 개척했다. 그는 이 과정이 궁극적으로 해양의 영양 균형과 대기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1980년대 초 버너는 동료 지구화학자 로버트 개럴스, 안토니오 라사가와 함께 ... ...
- 해양의 미래를 밝힐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전면금지' 시행, 눈 앞에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기관들을 조율해서 절충안을 만들어 나갔다.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사회·경제 분야의 혼란까지 줄여야 했다. 그래도 어떻게든 방법을 마련해 나갔다.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업체가 부족하다는 업체의 불만에 대한 대처법을 대표적인 해결 방안으로 꼽을 수 있다. 이 문제는 먼저 최소 2개의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Early Career Scientists Conference, ECSC)가 한국에서 개최된다. ECSC는 국제적 협력이 필요한 연구분야에 젊은 과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능력배양프로그램으로써 매 회 약 100~130여명의 젊은 과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1999년 미국, 2012년 스페인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로 개최한다. 또한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문을 연 당시만 해도 노 박사는 연구활동에 많은 곤란을 겪고 있었다. 어류 육종이 전문 분야였음에도 안산의 KIOST 본원에서 연구하는 동안에는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웠다. 울진에서 찾은 기회 노 박사에게 울진의 동해연구소 발령은 가뭄의 단비였다. 울진은 동해의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유명한 더닝-크루거 이펙트(이 현상을 발견한 학자 두 명의 이름이다)에 의하면 어떤 분야에 대해 잘 모를수록 자신감이 높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무엇을 ‘조금’만 해 보아서 사실 잘은 모를 경우 자신이 뭘, 얼마나 모르는지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성을 쌓을수록 자신의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0] 숫자로 보는 핵융합, "7"2015.12.10
-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핵융합 분야의 협력을 ‘공동성명’에 포함시켜 발표했고, 1988년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산하에 ITER 위원회를 구성한다. 미국, EU, 러시아, 일본 등 핵융합 선진국들이 서로의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상용화를 ...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2015.12.07
- 생물학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은 노화를 늦추기 위한 약리적 개입이 ‘어쩌면(if)’이 아니라 ‘언제(when)’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 ‘네이처’ 2013년 1월 17일자에 실린 리뷰논문에서. KBS 제공 ‘상근이’라는 개가 있었다. 그레이트 피레니즈 품종의 대형견으로 희고 풍성한 털에 점잖은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