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스페셜
"
돌연변이
"(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아마도 캡시드 단백질의 견고한 구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캡시드 단백질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겨 아미노산이 바뀌면 캡시드 구조를 제대로 만들지 못한다. 따라서 표면 구조에 큰 변화가 없어 이를 인식하는 항체가 만들어지면 평생 면역력을 갖게 된다.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하나를 얻으면 ... ...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에 발표했다. 하지만 이 영역에
돌연변이
가 있어도 실제로 땅콩 알레르기가 나타나는 사람은 20%에 그쳤다. 지난해 3월에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구팀이 땅콩 알레르기에 관여하는 유전자(EMSY)를 찾기도 했다. 이 유전자는 이미 ... ...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NIH) 산하 알레르기및감염병연구소(NIAID)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서 비교적
돌연변이
가 적은 부위를 타깃으로 하는 만능 백신을 개발해 임상시험을 시작하기도 했다. 한 번 접종으로도 오랫동안 독감을 예방할 수 있을 전망이다. ②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한 가지 주사로 세 가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옥수수 꽃가루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없으며, 번식기를 앞두고 필요할 때 만들어낸다. 또한 체세포와 감수분열 시
돌연변이
가 발생해도 식물은 생식세포를 만들어낸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통해 식물은 개별 세포 단위에서 복잡한 단계를 거치면서 전사체들을 조절해 생식세포를 발달시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흰딸기 품종이 안토시아닌 색소를 합성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긴 결과임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한참 딸기 얘기를 쓰다 보니 딸기가 듬뿍 올라간 생크림케이크와 진하게 내린 커피 한 잔이 생각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어머니도 101세까지 사셨다). 그리고 운도 김 교수의 편인 것 같다(심각한 사고나 임의의
돌연변이
로 인한 암 발생 등을 피했다). 백년을 산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러나 정작 김 교수는 책에서 “일은 목적이고 건강은 수단”이라면서도 “건강이 일을 도왔는지 일이 건강을 도왔는지 묻고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개체를 골라낸다. 기능이 향상된 효소를 찾아내면 여기에 다시
돌연변이
를 가해
돌연변이
를 누적시킨다. 이를 반복하다 보면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화, 방향적 진화가 이루어진다. 진화가 다윈의 ‘자연 선택설’을 따른다면 방향적 진화는 ‘부자연 선택설’을 따르는 셈이다. 탄소수소(C-H)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부랴부랴 신종플루용 백신을 만들어 공급하던 모습이 생생하다. 이 모든 일들은 쉽게
돌연변이
를 일으킬 수 있는 독감 바이러스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백신에 들어있는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에 달라붙는 항체가 형성돼도 막상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구조가 꽤 다르면 인식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그 에임스라는 사실이다. 에임스 검사는 특정 박테리아를 이용해 화학물질의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을 측정하는 기발한 방법이다. 브루스 에임스 교수는 오랫동안 암 관련 연구를 했고 2000년대 들어 노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지금까지 5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엄청난 인용횟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섬-연구는 의학에서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여 종종 질병의 구체적 동인, 또는 유전자
돌연변이
, 또는 그 질병과 관련 있는 환경적 인자를 알아내는 데 기여한다. - 올리버 색스, ‘색맹의 섬’ 2부 ‘소철 섬’에서 “누가 밝혀내든 관계없네. 난 그저 그때까지 살아있기를 바랄 뿐이야.” - 레너드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