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공"(으)로 총 9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06
- 제과제빵 교수. 성균관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트퍼드대에서 MBA, 경희대 식품가공학 석사와 동국대에서 식품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과거 덕수제과를 운영하기도 했고, 해외 여러 유관기관의 연수를 거쳤다. 지금까지 25년 넘게 경희대에서 제과제빵 이론과 실기를 가르치고 있으며, 70여 편의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06
- 거쳐 육지로 올라온 곳에서 채굴되는 암석 상태의 소금이다. 석탄처럼 채굴한 뒤 가공하기 때문에 지금도 많은 나라에서는 소금을 광물로 분류한다. 한국은 2008년부터 소금을 광물에서 식품으로 재분류했다. 암염에는 미네랄이 거의 없다.두 번째로 많은 소금은 호주나 멕시코 등지에서 생산되는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06
- 거의 존재하지 않는 수준으로 정제한 뒤 단결정으로 성장시키고, 이를 얇은 원판형으로 가공한 것이 반도체 웨이퍼다. 이를 기판으로 해서 전자회로를 만들고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한다. 우리의 오랜 조상들이 석영의 일종인 플린트나 흑요석 등을 이용하는 석기문명을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막기 위해 작년 5월 105톤의 상아를 태워 없애기도 했지요. 중국도 2018년부터 상아 거래와 가공을 그만두기로 했고요. 점점 상아 거래를 막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어요. 일리도 밀렵꾼들이 더 이상 우리를 노리지 않게 상아 거래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06
- 홍릉수목원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과 연구실에서 이선영 연구관을 만났다. 그가 투명한 지퍼 백을 건넸다. 습기를 머금은 물컹하고 투명한 젤이 들어 있었다.“외과수술 후 피와 세포가 엉겨 붙으면서 장기가 서로 붙을 수 있습니다. 이 재료를 장기 사이에 끼우면 유착을 방지할 수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05
- 원석은 보석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말입니다. 수많은 광물 중 아직 보석이 아니지만, 잘 가공하면 보석으로 태어날 수 있는 광물이 바로 원석이지요. 원석을 찾았으면 이제 아름다운 보석으로 만들어야 합니다.맨 얼굴에 화장하면 예뻐지지만 보석은 오히려 원석을 깎아 맨 얼굴을 드러내야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03
- 가구나 장판에 쓰는 MDF로 모형을 만들었다. MDF는 나무를 잘게 자른 톱밥과 접착제를 섞어 가공한 목재로 매우 단단하다. 이 모든 난관을 헤쳐 나가는 데 9년의 시간이 걸렸다. 아쉽게도 단가때문에 지금 당장 한옥조립모형을 상품화하진 못했다. 전 교수는 “오랜 시간이 걸린 만큼 여러 면에서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03
- 다이아몬드에 비해 상대굳기는 약하지만, 빛을 분산시키는 특성이 뛰어나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현란한 광채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보석의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티타나이트라는 이름은 1982년 국제광물협회에서 정했다. 원래 티타나이트는 ‘스펜’이라고도 불렀는데, 아직도 보석으로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과학동아 l201702
- 운석으로 떨어진 철은 상대적으로 찾기 쉬웠다. 다른 금속 재료에 비해 탁월한 강도와 가공성을 갖고 있어 세계를 재패한 신무기의 소재가 됐다.금속의 수요가 점점 늘어감에 따라,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금속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선조들은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광물에서 필요한 금속을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의 한계로 지적됐던 데이터의 변형과 가공이 가능하다.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재생하는 SLM은 홀로그래피 원리로 기록한 데이터를 빛의 회절성을 이용해 3차원 공간에 띄우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에 강의나 발표를 할 때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생각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