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로"(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03
- 조건(오른쪽 그림 참고)’을 만족할 때 이런 무늬가 나타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한 공로로 191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려면 회절 무늬를 분석해야 한다. 이때 ‘푸리에 변환★’을 쓴다. 푸리에 변환은 계산이 복잡해서 1940년대까지는 소금 결정인 염화나트륨 같은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03
- 때문이다.양자역학이 나오는 데 큰 역할을 한 에르빈 슈뢰딩거.슈뢰딩거 방정식을 만든 공로로 193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양자역학은 확률의 과학이다. 모든 게 결정이 됐던 기존의 물리학과 다르게 모든 게 확률로 돼 있는 것이다. 미국의 위대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양자역학을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03
- 회복실 만들고 간호행정 체계화한 간호사 박명자한국 의학이 발달한 데에도 숨은 공로자가 있습니다. 근대 초기 의료 일선에서 서양의학을 실천한 간호사들이죠. 흔히 간호사를 의사의 보조자, 또는 환자의 간병인으로 보는 몹시 잘못된 시각이 있지만, 엄연히 전문의료인력입니다.역사 속 여러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03
- 해설서에는 집적회로와 함께 강대원 박사의 모스펫을 중요한 발명으로 꼽았다. 이런 공로로 강 박사는 토머스 에디슨과 라이트 형제 등이 헌액된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늦은 감이 있지만 한국반도체학술대회(SK하이닉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반도체연구조합 주관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03
- 관계를 함수 식으로 만들었죠.” 그 덕분에 한옥을 설계하는 일이 훨씬 수월해졌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하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꼽혔다. 3537개의 부재로 이뤄진 한옥조립모형전 교수의 열정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쌓은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01
- 논문으로 출판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고, 결국 채드윅이 중성자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기록에 따르면, 마요라나는 지나칠 정도로 겸손하고 기회를 잡는 데 소극적인 사람이었다. 문제를 풀고도 거기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길 원하지 않았고, 페르미의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분자로 로봇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기도 했지요.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교의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는 지난 1999년, 탄소와 수소 원자로 분자 모터를 만들었어요. 이 분자들은 자외선을 받으면 빙글빙글 돌게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띄엄띄엄 변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들은 물리학에 수학을 적용해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낸 공로를 인정받았답니다.마지막으로 노벨 화학상은 ‘분자기계’를 개발한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 장 피에르 소바주 교수, 미국 노스웨스턴대 프레이저 스토다트 교수,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베르나르트 ... ...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볼 때와, 뒤로 돌아 허리를 굽혀 다리 사이로 볼 때 사물이 달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죠.히가시야마 교수팀은 이 연구를 위해 우선 다른 크기의 직사각형 모형들을 준비했어요. 그리고 15명은 똑바로 서서, 다른 15명은 허리를 앞으로 굽힌 채 다리 사이로 이 모형들을 보게 했죠. 2.5m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개발한 마르틴 카르풀러스, 마이클 레빗, 아리에 와르셀 교수(왼쪽부터). 이들은 이 공로로 201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존 포플 교수와 월터 콘 교수는 이렇게 만든 ‘가우시안’이라는 프로그램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작은 분자만 다룰 수 있지만, 지금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