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로"(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12
- 방재’, ‘백두산 대폭발의 날’ 등이 있다. 화산학 및 화산방재학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지난 10월 대한지질학회로부터 학술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11
-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분자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공로로 장피에르 소 바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대 명예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베르나르트 페링하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교수 세 사람에게 돌아 갔다.‘움직이는 분자’ 시작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11
- 나오지 않았다.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인정했다. CERN의 모든 구성원은 두 학자가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 마치 우리가 상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흥분했다. 우리가 노벨상을 탈것이라는 기대는 전혀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개인이 아닌 기관에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11
- 퍼거슨 박사는 영업과 마케팅 관점에서 돌(rock)의 성격이 어떻게 인지되는지 연구한 공로로 경제학 분야 이그노벨상을 받았다(마케팅이론, 2014, 14(4), 451-475).화학상이그노벨상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린 분야는 단연코 화학상이다. 지난해 배출가스 시험 조작 스캔들을 일으켜 전세계적인 물의를 빚은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11
- 화살을 들고 직접 사냥하지 않아도 배불리 먹을 수 있죠.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숨은 공로자들 말이에요.”물론 한정된 지면에 모든 과학기술을 정리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책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빠진 내용을 모아 웹사이트를 만들었다. 독자들과 토론할 수 있는 게시판도 열었다. “여기에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맨스필드 교수(영국 노팅엄대)로, 물리학자이지만 자기공명영상(MRI)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생리·의학상(2003년)을 탔다.공립, 사립, 기업체 소속이라는 차이는 있지만 이들 모두 연구비를 지원해 주는 연구소 소속이었다. 그렇다고 이 연구소들이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집합론의 공리를 정교하게 정의하면서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칸토어는 오늘날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집합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빛으로 힐베르트 호텔을 짓다최근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 머릿속에서만 상상해본 힐베르트 호텔을 직접 실험으로 확인해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 미국 등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07
-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의 앤드루 와일즈 교수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와일즈 교수는 1987년부터 장장 8년간 최신 수학 기법들을 총동원해 문제에 매달린 끝에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데 성공했다. ... ...
-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시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뇌의 능력을 잃어버린다는 사실도요. 두 사람은 시각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답니다.뇌를 이용해 시력을 되살려라!시력이 뇌의 문제라면 뇌를 이용해 시력을 되살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실제로 우리 뇌는 학습과 경험에 의해 계속 스스로를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04
-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17가지 방정식은 멀게는 기원전, 가까이는 1970년대에 혜성같이 나타나 인류에게 큰 공헌을 했다. 앞으로 또 어떤 발견이 이뤄져 우리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