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로"(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04
- 2007년, 콜롬비아 국제공항에서 마약 단속팀의 일원으로 일하며 많은 마약을 적발해 공로 메달을 받은 마약탐지견 아가타(당시 5살)에게 24시간 경호원이 붙어 화제가 됐다. 그만큼 뛰어난 능력을 가진 특수목적견이 드물다는 얘기다. 전세계적으로 뛰어난 특수목적견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루이스 오리츠 모레노 팀이 이 발견을 먼저 발표했다. 마이클 브라운은 오리츠그룹의 공로를 인정했으나, 이내 의구심을 가지게 됐다. 언론에선 새로 발견한 왜행성이 명왕성보다 두 배나 크다고 보도했지만, 실제론 명왕성 질량의 30%밖에 되지 않았다. 브라운은 즉시 정정하려고 했으나 여의치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짤로그’수학동아 l201603
- 아이디어를 덧붙여 사용하면 짤카드 뒷면에 내 아이디가 남고, 콘텐츠를 널리 퍼뜨린 공로를 인정한다. 짤통령이 궁금하다짤이 인기를 얻고 있다지만 짤을 사고파는 시장을 만들 생각을 어떻게 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다. 짤로그를 만든 이들은 어떤 사람들일까?대학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한 박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01
- 83세의 ‘현역’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는 표준모형을 완성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업적이 처음부터 의도했던 결과는 아니라고 회상했다(의도치 않았던 결과로 노벨상을 받다니!). 사실 본인은 힉스 메커니즘을 이용해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01
- 0월, 토마스 린달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교수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한 공로로 2015년 노벨화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2월에는 크릭 연구소의 ‘노른자’ 위치 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생겼다. 교통이 너무(?) 좋은 나머지, 연구소 바로 옆에 광역철도 ‘크로스레일’ 2호선 공사가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21
- 독일군이 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데 쓰였지요. 결국 하버 박사는 인류에 공헌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지만 ‘화학무기의 아버지’라는 나쁜 별명도 얻었답니다. 노벨상 아닌 노벨상 엉뚱함이 노벨상감! 이그노벨상이름은 노벨상이지만 노벨상이 아닌 상도 있어.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17
- 과정은 20세기인 1945년에 멜빈 켈빈(오른쪽 사진)에 의해서 밝혀졌어요. 켈빈은 이 공로로 1961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답니다. 태양전지기술과 촉매를 이용한 인공광합성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화합물은 인간에게 아주 유용한 자원이에요. 먹거리는 물론 섬유, 목재 등으로 사용할 수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11
- 투 유유 교수는 말라리아 퇴치에 탁월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을 분리해낸 공로로 영광을 안았다. 독립적으로 진행된 연구지만, 제3세계의 기생충 퇴치에 혁혁한 공을 인정받아 함께 상을 받게 됐다. 흥미로운 점은 두 약물이 모두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이 아니라 자연에서 추출한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11
- 성과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운관의 토대를 다진 무송헌(撫松軒) 김담(1416~1464)의 공로를 빼놓을 수 없다. 내년에 탄생 600주년을 맞는 김담은 장영실과 이순지, 이천 등의 계보를 잇는 조선 초기의 대표 천문학자였다.일식을 정확히 예측하다“역산을 정밀하게 하는 데 김담 같은 이가 없기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이야기했다. 그 해는 제임스 왓슨과 프란시스 크릭이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은 해였다. 몇 년뒤, DNA는 진짜 모드리치의 삶의 한가운데로 들어왔다. 스탠포드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학생 때부터 듀크대 조교수로 갈 때까지 그는 DNA 연결효소, DNA 중합효소, 제한효소 EcoRI 등 DNA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