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함
무감각
무신경
굼뜸
무지각
무기력
느림
d라이브러리
"
둔감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난리를 치고 있지만 정작 일본에서는 조용한 것이다.일본 소비자들이 수산물 오염에
둔감
한 것은 두 가지로 보인다. 첫째, 일본 정부를 신뢰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정기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를 수질검사 해 어민들이 조업을 해도 되는지 점검하고 있다. 현재는 조업 중단 상태다. 인근 ... ...
PART 1. 테스토스테론은 진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않는다. 제니퍼 위트슨 미국 텍사스주립대 교수는 권력을 가지면 ‘목표 제약 정보’에
둔감
하게 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다. 위트슨은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권력자’와 ‘약자’로 인식케 한 다음 ‘아마존 밀림지대로 여행 가기’란 목표를 부여했다. 참가자들은 모두 18가지의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중간에 필히 잠을 자야 한다고 충고한다. 잠을 자면 지각이 저하되고 외부의 자극에
둔감
하게 되지만, 잠자는 동안에도 두뇌는 쉬지 않고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수면이 기억력에 이득이 되면 됐지 절대 손해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학교에서 B학점 이상을 받는 학생들은 C학점 이하를 받는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관여하기 때문이다. 똑같은 수용체 문제로 일어난 자폐증이라도 신경전달물질에
둔감
한 것이 아니라 반대로 민감해서 나타났을 수도 있다. 이처럼 너무나 다양한 원인이라는 난관을 극복해야 자폐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과학자들이 현재 자폐증 치료의 근본적인 대안으로 생각하는 것은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나오는데 이 과정에서 근육도 함께 이완된다. 이 때문에 소화도 잘 되지 않고 장운동도
둔감
해져 변비가 생기는 것이다. 침을 내보내는 근육도 함께 늘어져 입 안이 마르는 것이다. 감기약도 진통제와 마찬가지로 성분은 같은데 이름이 다른 약들이 무수히 많다. 빈속에 먹어도 괜찮은 약도 많이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고 매우 얇아서 외부 충격에 약하다. 나이가 들면서 고막의 탄력도 떨어져 진동에
둔감
해지기 때문에 난청이 잘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 인공고막이식이 있다. 그동안 인공고막은 주로 목화나 고무막, 난막 등을 이용했다. 최근에는 실크를 이용한 소재가 개발됐다. 하지만 염증,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좋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 평소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면 그만큼 더 지방 맛에
둔감
해진다고 가정했다.연구팀은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비만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조사와 지방 맛 판별실험을 했다.유전자 조사 결과 약 20%는 지방 맛을 느끼는 CD36 ... ...
후각 교란해 모기 퇴치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동물이 있는 곳을 찾아내기 위해서다. 따라서 어떤 냄새분자로 cpA가 이산화탄소에
둔감
해지도록 만들면모기는 사람을 찾기 어렵다.연구자들은 1-헥사놀 같은, 모기의 cpA가 반응하는 분자들을 더 찾아봤다. 어떤 종류는 모기가 이산화탄소와 식별하지 못했고, 어떤 종류는 cpA를 흥분시켜 제 구실을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떤 맛을 담당하는지는 몰랐다. 그런데 다른 연구팀에서 PROP라는 쓴맛이 나는 물질에
둔감
한 사람이 5번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돌연변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T1R1과 T1R2의 유전자는 이 위치에 있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 위치에 혹시 이들과 비슷한 구조의 또 다른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훈을 가르치기 위해 체벌을 시작했다. 반대로 체벌을 받으며 자란 아동은 폭력에
둔감
해지고 공격성이커지기 때문에 성인이 된 후 자녀나 배우자를 폭행할 가능성이 높다.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체벌을 당하며 자란 아동은 자존감과 동기의식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체벌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