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함
무감각
무신경
굼뜸
무지각
무기력
느림
d라이브러리
"
둔감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구아니딘의 니트로화합물 트리니트로툴루엔(TNT)에 버금가는 폭발력을 갖고 있으나 매우
둔감
하여 작약(炸藥)의 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데, 분해할 때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므로 추진제(推進劑)의 성분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글리세롤의 질산에스테르 생성된 니트로글리세린은 산 위에 뜨므로 이것을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었다. C4는 손으로 외형을 조작해 폭발력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충격과 마찰, 불에
둔감
하기 때문에 휴대하기 간편해 테러에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폭탄 의 한 종류다. 예맨에서 56명의 사상자를 낸 미 해군 ‘콜’호에 대한 폭탄테러에 사용된 것도 바로 이 C4 폭탄이다.C4와 같은 신세대 폭탄은 ... ...
② 청각 : 원하는 소리만 듣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시스템을 만들면 문제가 해결된다. 실제로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모방해 잡음에
둔감
한 음성인식시스템이 개발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사람 귀가 2개인 이유인간의 청각시스템을 모방한 또다른 음성인식시스템으로 스피커폰(speaker phone)이 있다. 잘 알다시피 사람의 귀는 2개다.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변의가 심하게 느껴질 때에 화장실로 가는 습관이 오래 가면 항문 주변의 감각수용체가
둔감
해진다. 그 결과 점차 강한 자극이 있어야만 변의를 느끼기 때문에 변비가 습관화된다.그렇다면 변비는 왜 생기는 것일까. 대변의 재료는 음식이다. 입으로 들어가는 재료가 많아야 최종 생산물도 많아져서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하는 것처럼 한대지방에서도 모든 근육이 과긴장 상태로 들어가 판단중지와 같은
둔감
한 상태에 이른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이 여기에서도 적용된다. 온대지방의 학교들이 여름에 방학하는 것은 열대형의 판단 중지 상태가 오기 때문이며 겨울에 방학하는 것은 한대형의 판단 중지 상태를 고려한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구조는 큰 변화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주위 환경의 변화나 시스템 자체 특성의 변화에도
둔감
한 장점이 있다. 벽을 따라가는 시스템의 경우 공학적 시스템이 정확한 거리 측정에 기초함에 비해, 창발적 시스템에서는 외부에서 시스템을 순간적으로 움직이거나 벽의 모양이 바뀌어도 큰 문제가 없다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매우 높다. 그리고 날개는 바람을 잘 투과하지 않으면서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비교적
둔감
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주로 사용한다. 처음 행글라이더가 만들어졌을 때 대나무와 나일론 천을 이용했던 것에 비하면 대단한 발전이 아닐 수 없다.초창기에 사용되던 행글라이더는 날개의 부리각이 80-9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나타내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 영향으로 인해 우리 민족의 색채에 대한 감수성은 비교적
둔감
하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최고 품질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또 우리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재창조하기 위해서는 색채에 대해 보다 민감해질 필요가 있다.색채에 대한 선호도는 천차만별이기는 하지만, ... ...
6 냄새-화학적 자극을 수용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완전히 못 느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생활 환경에서의 냄새나 몸에서 나는 체취 등에
둔감
하다가도 여행 등 환경에서 벗어났다가 다시 돌아와 냄새를 느끼는 것도 바로 후각의 선택적 피로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냄새의 존재를 파악하는 후각의 능력은 매우 뛰어나 지금까지 나온 어떤 인공 ... ...
4 생명의 권리 거부하는 낙태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뱃속에서 사라지는 태아가 더 많다고 한다. 어쩌면 우리는 너무 만연된 이 현상에 이미
둔감
하게 됐는지도 모른다.그렇다고 임신중절과 관련된 문제 제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세계적으로 가톨릭 등 종교단체가 '생명존중' 기치를 높이 들고 임신중절 반대운동에 활발히 나서고 있는 모습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