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잡곡"(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자연요법7: 영양요법과학동아 l1997년 07호
- 과거 농업이 천하의 근본이던 시대에 조상들이 드시던 간소한 식사로 돌아가는 것이다. 잡곡밥에 김치, 된장국을 먹고, 육류를 줄이는 것이다.어른들 말씀을 들어보면 불과 수십년 전만 해도 육류는 1년에 2-3회 명절이나 잔치 때 먹는 것이 고작이었다. 퇴비로 땅에 힘을 살리고, 그 땅에서 공들여 ... ...
- 변비 왜 여자에게 잘 걸릴까과학동아 l1997년 03호
- 꼭 섭취하며 군것질로 식사를 대용해서는 안된다.②밥과 주로 잡곡밥ㆍ현미밥을 먹는다(곡식의 껍질에는 변비를 해소하는 성분이 다량 포함돼 있다).③반찬은 고기류보다 섬유질이 많은 야채류ㆍ해조류ㆍ과일을 먹는다.④공복시나 운동 후 수분을 꼭 보충해준다(하루 6컵 정도의 물) ... ...
- 종자산업이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1988년 12호
- 개발된 볍씨 신품종과 재래종 1만8천종을 비롯, 밀 보리 2만9천종과 콩류 9천9백50종, 잡곡 9천9백54종, 채소 5천7백종, 사료작물 3천4백종, 특용작물 5천8백60종 등 모두 8만1천8백64종의 각종 종자가 보관돼 있다 ...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과학동아 l1988년 08호
- 넣지 않는 게 특징. 논이 경지면적의 0.5%에 불과해 밭에서는 산디(陸稻) 조 보리 콩 등의 잡곡에 의존한 점이 눈에 띄고 해산물을 이용한 죽이나 국, 회 등의 종류가 다양한 것도 자연조건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인다.제주인의 생활사와 관련해 볼만한 전시물로는 테우를 들 수 있다. 테우는 통나무 9 ... ...
- 고3병의 현장 첫 징후는 성적저하과학동아 l1987년 02호
- 것이 좋다. 특히 고3생은 콜라, 코피, 라면과 같은 자극성음식을 삼가고, 흰쌀밥보다는 잡곡밥에 입맛을 맞추는게 유익하다. 고3병 상태가 심할 때는 신경안정제를 복용해도 무방하나 반드시 의사와 상담한 후 처방에 따라야 하며 각성제나 환각제의 사용은 금물이다.고3생의 부모는 입시가 ... ...
- 현미-알고 먹자과학동아 l1986년 01호
- 줄을 누가 알았으랴.그래서 사람들을 가난했던 옛날을 못잊어 하듯 허겁지겁 쌀에 잡곡을 섞어 먹기에 이르렀다.아뭏든 요즘 우리들 주변에는 현미밥을 짓는 집들이 상상 이상으로 늘고 있다. 마치 현미식을 함으로써 암이나 당뇨병같은 성인병에서 해방될 수 있다는 확신을 지닌 것처럼 보인다.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