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수
산행꾼
수렵꾼
나무꾼
삼림지기
낚시 애호가
사냥군
뉴스
"
사냥꾼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유동물들, 사자보다 '사람 소리' 더 무서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파괴적이고 치명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맹수 및 인간
사냥꾼
과 지난 수천 년 동안 함께 살아온 다양한 포유동물들이 인간을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을지에 대해 궁금증을 갖고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지역 연구자들과 협력해 동물들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Chronicle of a twentieth century medical triumph.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 폴 드 크루이프. 미생물
사냥꾼
. 이미리나 역. 반니. 2017 3. 예병일. 의학사 노트. 한울엠플러스. 2017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 ...
인간이 땅으로 내려온 이유…"팔·어깨 진화한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해부학적 구조를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인류가 나무에서 생활하다가 이족보행을 하는
사냥꾼
이 될 때까지 침팬지처럼 나무를 보다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특징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영장류 간의 해부학적 차이와 움직임 등을 분석하는 이러한 연구는 인류의 조상이 직립보행을 하고 ... ...
멸종위기 물개, 수은·카드뮴에 내성...중금속 중독 치료법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4.30
‘취약’ 단계로 분류된다. 18세기 초만 해도 개체 수가 많았지만 털과 고기를 노린
사냥꾼
들에게 약 400만 마리가 도살됐다. 19세기 무렵에는 멸종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1960년대 칠레 해안에 위차한 로빈슨 크루소 섬에서 작은 무리가 발견됐다. 이후 보호종으로 지정되면서 개체 수가 서서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기월식 달빛에 담긴 화산 폭발의 흔적
2023.04.19
이어졌다. 브라반트공국(현 네덜란드)의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1565년 작품 ‘눈 속의
사냥꾼
’에는 소빙하기가 절정이던 유럽의 풍경이 잘 그려져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나이테도 정보를 제공한다. 대형 화산 폭발로 광량이 줄고 평년보다 기온이 내려가면 나무의 성장이 더뎌 나이테 폭이 ... ...
잔인한 포식자 스피노사우루스는 물고기
사냥꾼
으로 진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영국 사우샘프턴대와 미국 오하이오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스피노사우루스의 두개골과 이빨 화석을 분석해 당시 모습을 재현했다. 사우샘프턴대 제공 공룡 중 스피노사우루스는 잔인한 포식자로 알려진 티라노사우루스, 벨로시랩터 등과 함께 '수각류'로 분류되지만 독특하게도 수중 생활을 하 ... ...
"사슴, 코로나 바이러스 저장소...알파·감마 변이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퍼진 것으로 추측했다. 코넬대 연구팀은 2020년과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뉴욕주에서
사냥꾼
이 죽인 흰꼬리사슴에서 수집한 약 5500개의 조직 샘플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20년에는 샘플의 0.6%만이 바이러스 양성 반응을 보였고 2021년에는 양성 반응이 2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 ... ...
몽골서 '다이빙 새' 닮은 반수생 육식 두발 공룡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2.12.02
'나토베나토르 폴리돈투스'(Natovenator polydont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빨이 많은 수영하는
사냥꾼
'이라는 의미다. 이 연구 결과는 이 교수가 2006~2011년 이끈 국제공룡탐사대가 몽골 옴노고비 지역에서 2008년에 발견한 화석을 분석한 것이다. 당시 이 공룡은 두개골과 척추, 앞발 한 개, 뒷발 두 개 등 ... ...
코로나19 인간 활동이 잠시 멈춘 사이 야생동물 세계도 웃고 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사냥 횟수가 54%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냥꾼
에 의해 개체수 조절이 되지 않고 대신 충분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연구팀은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튼튼하고 개체수가 늘어난 흰기러기들이 북미 툰드라 지대로 이동하면서 이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 적응에 나선 북극곰 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북극곰은 다른 지역의 북극곰과 유전적, 신체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이
사냥꾼
들로부터 남동부 북극곰 샘플을 얻어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다른 19개 북극곰 집단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은 최소 수백년 동안 다른 북극곰과 분리돼 살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남동부 북극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