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수
산행꾼
수렵꾼
나무꾼
삼림지기
낚시 애호가
사냥군
뉴스
"
사냥꾼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축 살처분, 멧돼지는 사냥…해외사례로 살펴본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5
사냥 문화가 있는 국가에서는 특별히 사냥할 수 있는 지역과 기간을 지정하고 있다.
사냥꾼
을 피해 도망치던 멧돼지가 오히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멧돼지의 개체수를 줄이면 아프리카돼지열병도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일부 ... ...
약 48광년 밖 지구형 외계행성 표면 스피처 망원경 직접 관측
연합뉴스
l
2019.08.21
낮은 M형 왜성(적색왜성)을 11.1시간 주기로 돌고 있다. 이 행성은 지난해 '행성
사냥꾼
'이라는 별명을 가진 NASA의 우주망원경 테스(TESS)가 별 앞을 지날 때 별빛이 줄어드는 것을 통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천체면통과(transit)' 방법으로 발견했다. 행성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직접 포착해 ... ...
별과 가까운 '슈퍼지구'에선 생명체 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LHS 3844b에 주목했다. 이 행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이자 '행성
사냥꾼
'이라는 별명을 가진 테스(TESS)가 지난해 활동을 시작하며 처음 발견한 외계 행성들 중 하나다. 지구로부터 49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LHS 3844를 11시간 주기로 돌고 있다. 크기는 지구보다 1.3배 크다. 태양의 ...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발견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 망원경이자 '행성
사냥꾼
'이라는 별명을 가진 테스(TESS)가 지구로부터 73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보다 작은 항성(별)을 돌고 있는 슈퍼지구 행성 1개와 소형 가스행성인 ‘미니 해왕성’ 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중 항성으로부터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고고학자들이 추측하는 외치의 마지막 순간은 이렇습니다. 알프스 남쪽에서 살던
사냥꾼
외치는 병에 걸려 몇 달간 심하게 앓은 후 알프스를 올랐습니다. 하지만 싸움에 휘말려 부상을 입은 탓인지, 몸이 좋지 않아 발을 헛디딘 탓인지 깊은 상처를 입은 외치는 피를 많이 흘린 채 숨을 거둡니다. ... ...
거미가 주머니쥐를 사냥해 ‘화제’
팝뉴스
l
2019.06.20
쥐를 사냥한 거미의 모습이다. 거미의 종류는 헌츠맨 스파이더(huntsman spider) 즉 ‘
사냥꾼
거미’이다. 거미줄을 치고 먹이는 기다리는 일반 거미와 달리 헌츠맨 스파이더는 매복했다가 먹이를 덮친다. 호랑이가 사슴을 사냥하듯이 말이다. 다른 것은 독을 쓴다는 점이다.사냥한 먹이를 긴발로 ... ...
케플러망원경 지구만 한 외계행성 18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상태의 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NASA, MPS, 르네 헬러 제공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
사냥꾼
'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지금까지 찾아낸 행성의 개수는 4000개가 넘는다. 지금까지는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별빛이 감소하는 것을 보고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냈다. 하지만 이 ... ...
분노한 늑대, 위험한 셀카
팝뉴스
l
2019.05.25
있으며 운이 나쁘면 맹수의 공격을 받기도 한다. 일부 해외 네티즌은 사진 속 남자가
사냥꾼
인 것 같다고 말한다. 새끼를 잃은 늑대가 복수심에 불타고 있는 것이다. 또 합성 사진 같다는 네티즌도 있다. 너무 극적인 상황이라서 믿기 어렵다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마우스(Knock-out mice)라 불리며 생물학자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됐다. 바로 이 유전자
사냥꾼
들은 유전자 하나만 차지하면 과학자로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유전자를 먼저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다. 유전자 제거 혹은 형질전환 생쥐의 도래야말로 현재 생쥐 유전학이 의생명과학을 독식할 ... ...
인류가 확인한 외계행성 4000개 돌파…후보 2866개도 등재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이중 절반 이상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발견했다. 행성
사냥꾼
이라고도 불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09년에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지구에서 6500km 떨어진 테양궤도를 돌며 외부행성을 찾아냈다. 발사 후 3.5년동안 외계행성을 찾는 것이 목표였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