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수
산행꾼
수렵꾼
나무꾼
삼림지기
낚시 애호가
사냥군
뉴스
"
사냥꾼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귀한 장면, 소라의 사냥 순간
팝뉴스
l
2020.07.03
무슨 상황인지 감을 잡기 어려운데, 소라가 사냥을 하는 장면이라는 설명이다.
사냥꾼
은 큰 말 소라(Giant Horse Conch)라고 한다. 붉은 색 몸통은 빨간 혀를 연상시켜서 조금 소름이 끼친다고 말하는 네티즌이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1억년 전 공룡 안킬로사우루스, 저주파 듣고 뇌 냉각구조 갖춰"
연합뉴스
l
2020.06.08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ST.PETERSBURG STATE UNIVERSIT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난폭한
사냥꾼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한 수준으로 티라노사우루스는 대뇌 반구의 65~70%가 후각 신경구로 추정된다. 쿠즈민안킬로사우루스, 저주파 연구원은 "이 연구에서 발견한 흥미로운 또 한 가지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상아
사냥꾼
들은 활동하는 지역이 좁고, 여름 동안 잠깐 활동합니다. 그래서 상아
사냥꾼
들이 영구동토가 녹는 데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영구동토가 녹는 근본적인 이유는 아마 다른 곳에 있지 않을까요? ※도움말=이유경(극지연구소 KOPRI-NPI 극지연구 협력센터장), 정수종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있다. 베텔게우스는 원래 ‘겨드랑이 밑’이라는 뜻의 아랍말이다. 그리스 신화 속
사냥꾼
인 오리온의 왼쪽 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어서 붙은 말이다. 지구로부터 약 640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별로 우리 은하에 속해 있다. 베텔게우스는 태양 질량의 10배지만 부피는 800배에 달하는 ... ...
고대 북극성 '용자리 알파' 짝별과 일식 새로 밝혀져
연합뉴스
l
2020.01.08
행성
사냥꾼
테스 관측자료 분석해 '뒤늦게' 확인 NASA 고더드 우주 비행센터 제공 애니메이션 캡처 약 5천년 전 북극성 역할을 한 '용자리 알파'(α Dra)가 짝별과 서로 일식한다는 사실이 새로 밝혀졌다. '투반'(Thuban)으로도 알려진 용자리 알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됐음에도 일식 현상이 ... ...
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a와 b는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의
사냥꾼
모습이다. 부리 모양의 머리를 지닌 반인반수
사냥꾼
이 등장한다. 연대는 최대 2만 1000년 전이다. c와 d는 독일에서 발굴된 이전까지 가장 오래된 반인반수 조각이다. '사자-인간'이라고 불리며 사자 머리와 인간의 몸을 갖고 있다. 상상과 창조의 결과라고 ... ...
세포가 스스로 유지하는 원리 '미끼'와 '
사냥꾼
'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싶은 특정 RNA에 형광 단백질을 붙여 ‘미끼’로 만들고 RNA를 조절하는 특정 단백질인 ‘
사냥꾼
’이 미끼와 결합하면 미끼의 형광이 꺼지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 결과 단백질분해 복합체인 ‘26S 프로테아좀’이 제어 RNA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분해 효소들과 결합하고 단백질들의 양을 조절해 유전자 ... ...
"전 세계 돼지 4분의 1,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사라질 것" OIE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저항하고 있다’며 한국의 상황을 전했다. 네이처는 “한국 국방부가 저격수와 민간인
사냥꾼
을 동원해 북한 국경 근처에서 멧돼지를 쓰러트리고 있고 농림축산식품부가 열을 분석하는 드론으로도 멧돼지를 추적하고 있다”며 전파를 막기 위해 고군분투중인 한국 현황을 보도했다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궤도를 돌며 외부행성을 찾아냈다. 지난해 11월 임무를 종료했고 현재는 NASA의 새 행성
사냥꾼
망원경 ‘테스’에 임무를 물려준 상태다. 두 망원경은 행성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하지만 지구에서 관측해 행성을 찾을 때는 별의 밝기보다 정밀도가 높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 ...
행성
사냥꾼
테스, 블랙홀이 별 국수가락 뽑듯 빨아들이는 장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블랙홀에 별이 빨려들어갈 때 별은 조석력의 차이에 의해 국수가락처럼 길게 늘어지며 빨려들어가게 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튜브 캡처 블랙홀로 별이 국수 가락처럼 길게 늘어나 빨려 들어가는 순간이 포착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토머스 홀로이엔 미국 카네기연구소관측소 연구원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