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부정적 정서성과 상관없이 유효했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혈압을 일정하게 조율하는 데
관여
하는 압력반사(baroreflex)가 통각과도 관련을 보인다는 점에서 혈압이 사회적 고통과도 관련을 보이는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하지만 아직 추측일 뿐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미지수다. 물론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버전인 알파폴드3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9일 네이처에 공개했다. 생명 현상에
관여
하는 단백질은 재료 물질인 아미노산이 수백 개에서 수천 개가 결합해 만든 입체 구조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단백질 구조를 알아내면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생명현상이나 의약품의 효능 등을 밝힐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수 있게 행동과 생리의 기준점을 재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옥시토신이 학습과 기억에
관여
하는 현상도 환경 변화에 대한 생체적응으로 보면 수긍이 간다. 최근 발견된 옥시토신의 지방분해 기능 역시 먹이가 부족하거나 장시간 활동으로 에너지가 떨어졌을 때 지방조직에 저장된 중성지방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만들어 버린 6개 국립대 총장이 '자율 모집' 의견을 내는 과정에 교육부가 깊이
관여
했던 것도 사실로 알려졌다. 교육부가 막무가내로 의대 증원을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대학 안에서 의과대학의 입장을 난처하게 만들어 버린 후유증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교육부가 총장을 비롯한 대학 본부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연구에도 저자로 참여했다.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이유는 단백질이 생명 현상에
관여
하는 대표적인 생체 분자이기 때문이다. 단백질 구조는 단백질 기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 질병의 원인 분석이나 치료법 개발 길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런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CYPA 단백질을 끌어들여 변이 라스 단백질의 활성 상태(active)에 붙어 신호 전달에
관여
하는 분자(effector-protein)의 접근을 막아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신개념 약물을 개발했다(오른쪽). RMC-4998은 G12C 변이 라스 단백질에만 작용하지만 지난주에는 여러 변이 라스 단백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분자적 수준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 생리에
관여
하는 메커니즘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노아 팜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규명한 지도를 제작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0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붉은 색과 노란 색의 화려한 날개를 자랑하는 나비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의 모 ... 발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실험에서 확인된 나비의 유전자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
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잘 자라지 않는다. 그렇다면 빛의 세기가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도 이 경로가
관여
하지 않을까. 빛이 약하면 광합성 활동으로 만들어진 당이 적어 세포호흡 등 식물체의 기본 대사를 유지하는 에너지원으로 다 쓰여 MIPS1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빛의 세기를 5분의 1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 생각보다 오래 면역력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4
측분비 신호전달, 내분비 신호전달 과정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
한다. 연구진은 면역 작용제 11가지에 22시간 동안 노출된 다음 질병 관련 사이토카인 13가지 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고 이를 면역 작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된 환경요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