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의과학대학원 김준 교수팀이 발암 위험인자인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의 발생과 성장에
관여
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흡연 및 음주가 직접적인 DNA 손상뿐 아니라 산화스트레스를 통한 전사조절(발암 유전자의 발현 증가)로 구강암의 증식을 촉진하는 경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 수준에서 관찰한 감귤 오일 형성 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2.11
위해 유전자 매핑과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했다. 이를 통해 오일 분비선의 발달에
관여
하는 두 가지 전사 인자와 유전자 활성을 강화하는 시스-조절 인자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오일 분비선이 발달하려면 잎의 가장자리 모양을 제어하는 핵심 조절자인 ‘LMI1’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되지 않는다. 이 사건 이후로 미국에서는 학교가 나서서 특허 등 지적재산권 분배에
관여
하는 일이 강화되었다. 실제로 자본주의의 선진국임을 과시하듯이 대학에서 지적재산권 수입이 아주 미미한 우리나라와 다르게 미국의 대학은 지적재산권을 통해 큰 수입을 올리는 곳이 많이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걸까. 연구자들은 이 단백질이 세포벽 성분인 큐틴이나 수베린, 리그닌을 수송하는 데
관여
할 것으로 추정했다. ABCG5 유전자가 고장 난 변이체는 세포벽 구성 성분의 수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세포벽의 방수력이 떨어지면서 세포질이 흘러나와 세포 사이 공간을 채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나이트릴의 반응이 항암전구체 후보 물질로 꼽히는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Ⅲ) 합성에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값비싼 중금속이 활용됐던 기존 연구와 비교해 경제적인 금속을 활용할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반응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트릴은 탄소와 질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지질을 잃은 각질세포의 부피가 줄며 수축할 때 피부 당김이 느껴진다. ● 메르켈세포
관여
미국 스탠퍼드대와 프랑스 화장품기업 로레알의 공동연구자들은 죽은 세포로 이뤄진 각질층의 물리적 변화가 그 아래 살아있는 세포들 가운데 존재하는 촉각수용체에 영향을 미쳐 피부 당김이라는 생생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남녀의 생활 습관의 차이로 설명했으나 최근 연구 결과 Y염색체의 KDM5D 유전자가
관여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KRAS 변이로 KDM5D의 활성이 커지면 암세포 사이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면역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종양에서 암세포가 쉽게 떨어져 나가 전이가 일어날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에너지가 어떻게 배출되고 체중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선 대사조절에
관여
하는 시상하부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개릿 스투버 미국 뉴욕대 교수 연구팀은 시상하부가 어떠한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강조했다. 즐거움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부른다)의 구조에 영향을 줘 카로틴이 더 많이 저장되게 하고 카로틴 생합성 단계에
관여
하는 효소인 PSY에도 영향을 줘 카로틴을 더 많이 만들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Y2자리 변이 유전자 실체를 밝혔고 동시에 2번 염색체에서 주황색 관련 변이 유전자를 새로 찾아냈다.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통해 형성되었다가 빠른 시간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업(단기) 기억 형성에
관여
하는 뇌 부위. Frontiers Media 제공 인간의 경우 기억 정보가 유지되는 것과 높은 연관성이 있는 뇌 활성 패턴이 작업기억과 장기기억 관련 뇌 부위에서 각각 발견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아래마루소엽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