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괴로움"(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늘 할 일의 70%라도 해냈다면 성공했다고 기뻐하자2021.10.09
- 말이다. 해야 할 일이 없어지면 편해질 것이라고들 쉽게 생각하지만 일은 있으나 없으나 괴로움을 안겨주며 또 해야 할 일이란 죽을 때까지 없어지지 않을 거라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그렇기 때문에 잔뜩 쌓여 있는 해야 할 일 리스트를 없애는 데 골몰할 것이 아니라 어차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좌절과 실망이 습관인 사람에게2021.07.10
- 해내는 멋진 사람이 되고 싶단 욕구가 크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었다. 결국 이 괴로움의 원천은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나는', 아주 어려운 일이지만 그래도 '이 정도는', 전혀 당연하지 않지만 '당연히' 잘 해내야 한다는, 나에게 걸고 있었던 허황된 기대였다. 아무도 특별하지 않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왜 '미루기의 달인'이 되어가는가2021.06.05
- 읽기에 실패했다며 좌절하고, 분명 쉬려고 했는데 일을 하며 스트레스를 받고, 자신에게 괴로움을 주고만 책 읽기를 미워하게 되고, 취미 생활 조차 잘 해내지 못하는 자신을 미워하는 등 온갖 것에서 감정과 에너지 소모를 겪는다. 슬프게도 이런 만성적인 에너지 고갈 상태는 정작 중요한 일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실제 통증과 불필요한 괴로움을 구분하라2021.03.27
- 여유가 있는 경우 또 일상 속에서 자잘한 일로 지나치게 괴로워할 때면 지금 느끼는 괴로움은 내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보자. ※참고자료 -Fernandez, E., & Turk, D. C. (1992). Sensory and affective components of pain: Separation and syn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2, 205-217. -Sullivan, M. J. L., Bishop, S. R., & Pivik, J. (1995). The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2020.07.25
- 앞을 내다볼 수 없어서 어떤 행동을 선택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사람들은 큰 괴로움을 겪게 된다. 볼확실성은 인류에게 있어 존재론적 위협인 셈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고 있고 이게 언제 끝날지, 또는 언제 다시 터질지, 치료법은 나올지 아무도 알지 못하는 ... ...
- 코로나19,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기다동아사이언스 l2020.07.14
- 현재의 행복감 정도를 측정하는 일반적 설문지로 정상적인 기능 수행의 어려움과 괴로움 등 12개 측정 항목을 가지고 있다. 외로움은 지난 4주간 얼마나 외로움을 느꼈는 지를 질문해 평가했다. 연구는 영국에서 약 2만3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4월에 진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설문조사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2020.01.23
- 딱이다. 볼드모트가 지팡이를 들고 “크루시오”라고 외치면 저 멀리 있던 해리포터가 괴로움에 울부짖는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이 문제는 말하자면 중력에 관한 ‘하우(how)'의 문제이다. 뉴턴 자신이 이 문제에 만족할만한 답을 찾지 못해 불만이었다고 한다. 한편 뉴턴이 이런 마술적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2020.01.04
- 될 거야!’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던 친구가 생각보다 녹록지 않은 연구와 업무 외 괴로움들(인간관계, 이상한 문화 등)에 더 빨리, 크게 실망하고 누구보다 빨리 연구를 때려치우는 등의 경우를 종종 보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대와 열정이 큰 만큼 실망과 후회, 좌절 또한 큰 법이다. 실제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살로 이어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2019.11.30
- 속시원하게 힘들다고 이야기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웃는 얼굴을 하는 등 자신의 괴로움을 감추는 감정의 억압 또한 자살 시도와 큰 관련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더 나은 미래를 상상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에 처한 느낌 또는 실제 그런 상황, 새로운 위험을 계속해서 감지하고 몸을 사려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2019.07.13
- 침팬지들의 경우 같은 상황에서 울고 있는 침팬지를 토닥토닥 위로해주는 등 타인의 괴로움을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도움 행동을 보인다고 한다. 문제의 ‘진짜’ 원인을 해결해서 타인의 고통을 줄이려는 것은 다소 고차원적인 반응이라는 것이다. 사람의 경우 만 세 살 정도가 되면 조금씩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