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 포스텍은 김석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표면의 형태나 구조에 상관없이 마이크로
미터
(μm) 규모에서 물질을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온도에 따라 물체 형태를 기억했다가 다시 복원하는 SMP로 스탬프를 만들었다. 전사 물질 표면이 평평하지 않고, 거칠거나 3차원 구조를 ... ...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블록과 연결돼 만들어진 고분자다. 자체 조립이 가능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나노
미터
(nm)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열역학적 안정성이 떨어져 제작에 어려움이 많았다. 연구팀은 고분자 사슬에서 단 1%도 되지 않는 말단부에 주목했다. 사슬 말단부에 서로 다른 분자를 각각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나노기술연구협회가 선정 및 발표한다. 노 교수의 기술은 나노
미터
규모로 미세하게 패터닝된 메타표면과 빛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차세대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안 교수의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리튬 니오베이트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단위에서 작동하며, 기존 나노광학 플랫폼에서 활용돼 온 MLL에 비해 훨씬 높은 펄스 에너지(2.6pJ)와 피크 파워(0.5W)를 측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를 표지에 실은 '사이언스'는 기존 ... ...
[과기원NOW] KAIST, 기존 백금계 촉매 대체 고성능 원자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광센서는 광전압 효과를 통해 외부 전원 없이도 안정적으로 광신호를 측정했다. 약 40나노
미터
(nm)의 양자점 흡광층으로도 높은 소자 성능을 나타내고 외부 전원 없이 우수한 광검출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해당 광센서를 사용해 매우 얇은 피부 부착형 초박막 맥박 센서도 제작했다.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일본 육지 면적의 무려 12%에서 삼나무가 자라고 있고 연간 목재 생산량은 1228만 입방
미터
에 이른다. 일본 삼나무는 우리나라에서도 인기 있는 목재다. 일본 삼나무는 생김새도 멋있고 경제성도 있지만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다. 봄철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는 일본인 10명 가운데 4명이 시달리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소자 내 과열 해결방법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높으며 넓은 면적에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연구팀은 반경이 약 3cm인 100나노
미터
두께의 티타늄 박막에서 발생하는 표면파에 의해 열전도도가 약 25% 증가함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지난달 26일 온라인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 ...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귀상어는 해저 800
미터
이하로 내려갈 때 아가미를 닿고 체온 저하와 연관된 물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차단한다. 연구팀은 “귀상어는 아가미 기관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펨토초 펄스를 광음극에서 생성하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원자 크기보다 짧은 피코
미터
(1조분의 1m) 수준의 파장에 도달하면서 높은 시공간 동시 분해능을 가진다. 분석 결과 빗해파리 신경망의 뉴런은 다른 동물 신경계와 달리 시냅스로 연결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합포체’라는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폴리에틸렌 필름 제작 기술은 각국의 기밀로 부쳐진다. 폴리에틸렌을 2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보다 얇은 두께로, 찢어지지 않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과거 국내 고고도 과학기구 연구를 주도한 적 있는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고어라고 부르는 필름 조각을 열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