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초미세먼지가 폐암을 일으키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08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초미세먼지로 뒤덮인 거리를 실었다. 지름이 2.5㎛(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PM2.5)는 마치 황색의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를 흐리게 만들고 있다. 도시의 경관을 해치는 초미세먼지는 사람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사람의 체내로 유입돼 심각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할 최초의 백신은 1796년 영국의 제너(Edward Jenner)가 발견했다. 제너는 '18세기 말 키 2.3
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8947)'에서 소개한 헌터(John Hunter)의 제자로 런던에서 공부를 하기는 했지만 조용한 시골에서 개업한 평범한 의사 중 한 명에 불과했다. 제너가 역사적으로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했다. 1000나노
미터
(nm) 이상의 파장을 가진 단파 적외선은 700~800나노
미터
인 근적외선(NIR)보다 아주 미세한 물질을 포착하고 영상화하는 데 유리하다. 실제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이 형광염료를 사용한 의료진은 형광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한 수술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
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홀본이다. 여기서 영국박물관과 반대편으로 수백
미터
거리에 왕립외과학회(Royal College of Surgeons)에는 존 헌터의 수집품을 모아 놓은 헌터박물관(Hunterian Museum)이 있다. 존 헌터가 세상을 떠나고 6년이 지난 1799년, 영국 정부는 그의 수집품을 구입하여 왕립외과학회에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기존 제품들에 비해 바를 수 있는 면적이 넓다. 연구팀은 “개발한 페인트는 15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로만 칠해도 원하는 색을 낼 수 있다”며 "약 1.3kg만 있어도 보잉747 전체를 칠할 수 있을 정도인데 기존 제품이라면 약 453kg의 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명도 길다. 시간이 지나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것은 아니다. 실제 방류가 이루어지는 후쿠시마 지역의 어민들은 물론이고 수천 킬로
미터
떨어진 피지‧사모아 등 남태평양의 국가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일본 열도 덕분에 직접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는 우리나라에도 정부가 나서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방류계획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이소산토프테린’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반사경을 발견했다. 지름이 250~400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로 반사율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특정 각도에서 빛이 망막으로 내려가도록 하고, 또 다른 각도에서는 빛을 다시 반사한다”며 “포식자로부터 눈의 색깔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예상대로 전자에서는 젬시타빈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배양액에 있는 0.45마이크로
미터
보다 큰 뭔가가 젬시타빈을 파괴한 것이다. 분석 결과 그 실체는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라이니스라는 박테리아였다. 이 녀석이 지니고 있는 CDD라는 효소가 젬시타빈을 다른 분자로 바꾼 것이다. 추가 연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정확한 관측기구 사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직접 제작한 지름 12
미터
짜리 육분의를 이용하여 별의 위치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초신성과 혜성을 관찰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긴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관측기록을 케플러에게 전해 주었다. 케플러가 행성이 태양을 ... ...
서울 강남 첫 '도심형 스마트병원' 2029년 건립...강남세브란스병원 청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3
효율성을 갖춘 새 병원 건립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 병원은 21만6500제곱
미터
(㎡) 부지에 지하 7층 지상 17층 규모로 건립된다. 현재 사용하는 건물이 완전히 새로운 건물로 대체된다. 공사 기간에도 진료는 정상적으로 이뤄진다. 병원을 운영하면서 부분적으로 공사를 진행한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