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스페셜
"
벼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문화혁명의 대약진 운동 광풍 속에서 수천만 명이 굶어 죽는 대참사를 목격하면서 잡종
벼
개발에 뛰어들었고 마침내 성공해 많은 중국인들을 배고픔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했다. 미국 테네시대의 역사학자 셀렌 우는 ‘네이처’에 쓴 부고에서 “그의 평생 뇌리에서 굶주림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지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결과”라며 “실시간으로 적색거성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질량 손실을 관측하며
벼
의 구조와 진화에 대해 새로운 것을 알게 됐다”고 마했다. 초신성 폭발은 수십년에 한번 나타나는 우주쇼다. 우리 은하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은 1604년 일어난 케플러 초신성이다. 케플러 초신성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
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 두 개(CC형과 DD형)를 고장내면 탈리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현미경 사진 아래) 재배
벼
처럼 낟알이 익은 뒤에도 붙어있다. 셀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
2020.11.10
깊게 박혀있어 여전히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일본과 한국의
벼
농사 전통은 왜 이 두 나라가 비슷하게 잘 사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개인주의가 훨씬 덜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코로나19를 계기로 우리의 집단주의 민주주의가 서구의 개인주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말이 있을 수 있다. 좀 더 익숙한 단어를 쓰자면 육종이나 품종개량이 여기 해당한다.
벼
나 옥수수를 인간의 요구에 맞게 개량하거나 개 또는 비둘기를 인간 취향에 맞게 품종을 관리하는 일은 말하자면 인공선택이다. 인간은 오랜 세월 이미 인공선택으로 종의 진화를 이룩한 셈이다. 인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장면을 본 적이 있는데, ‘삼국지’에서 관우나 장비가 단기필마로 전진에 뛰어들어
벼
를 베듯이 적군을 쓰러뜨리는 장면이 연상됐다. 벌집 앞에는 장수말벌이 강한 턱으로 두 동강 낸 꿀벌의 사체가 수북이 쌓여 있었다. 장수말벌에 왜 ‘장수(將帥)’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줄 수 있을 거란 말이다. 특히 인류가 섭취하는 칼로리의 3분의 2를 공급하는 외떡잎식물(
벼
, 밀, 옥수수 등) 사이에서 접붙이기가 가능한 방법을 찾는다면 제2의 녹색혁명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게다가 접붙이기는 유전자 차원에서 개입하는 게 아니라서 GMO 논쟁에서도 자유롭다. 연구자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쓰러지지만 말단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자라며 적응한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심수
벼
가 침수됐을 때 대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식물생리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피해를 막아주는 완충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만 현대 농업에서 널리 행해지는
벼
나 사탕수수, 파인애플 등 단일 작물 위주의 농업보다는 다양한 작물을 키우는 농장이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단일 작물을 키우는 농지에서는 발견되는 생물종 수가 점점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료 덜 쓰고
벼
수확량 늘리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질소에 반응하는 유전자가 ‘NGR5’라는 단백질의 양을 늘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NGR5는
벼
의 가지 수를 억제하는 유전자의 구조를 조절해 이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하도록 했다. NGR5는 또한 가지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DELLA’와 상호작용해 가지들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질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