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사고가 최근 6년 동안 3배나 늘어났어요. 2010년에는 156
건
에 불과했는데, 지난해에는 460
건
이나 됐어요. 더 놀라운 사실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숨진 사람이 1400명이나 된다는 거예요. 사망자 대부분은 머리를 다쳤고, 86%는 안전모를 쓰지 않았어요. 안전모 쓰면 사망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드론은 이미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만들어져 경쟁력이 없었다. 공간을 날아다니는 물
건
이라 제어하기 힘들어 위험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원래 생각했던 로봇, 파이보를 만들게 됐다.1인 1 로봇 시대를 꿈꾸며 그럼 라즈베리 파이로 만들어진 로봇, 파이보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아직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우리 주변에는 산소 치료기처럼 원기둥 모양인 물
건
이 많습니다. 놀랍게도 그 물
건
은 공통적으로 안에 무엇인가를 담는 용도로 씁니다. 뭔가를 담는 통인데 왜 원기둥으로 만들까요? 그 이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세 번째 미션, 동무생각혹시 ‘동무생각’이라는 노래를 들어보셨나요?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티모시 리온스 교수는 “현재 시점에서 인류가 외계행성에서 메탄을 발견하면 그
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그러나 수십 억 년전에 우리 행성에서 메탄가스는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최소화하는 ‘두 마리 토끼’ 전략이다. ‘태평양을
건
너 대서양을
건
너 인도양을
건
너서라도’라는 어떤 노래 가사처럼, 이사부호는 이제 정말 바다로 달려 나갈 일만 남았다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난 1년간 화성과 동일한 환경의 체임버 속에서 비행실험을 했다. 우리는 NASA와 같은 조
건
에서 실험할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화성과 유사한 지역에서 실험을 하기로 결정했다. 우리가 정한 장소는 콘퍼러스가 열렸던 호주연방과학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서호주 북부의 노스폴 지역이었다.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떼겠다고 하지 않았나요?”나는 얼마 전에 읽은 기사를 떠올리며 그렇게 쏘아붙였다.“그
건
갤럽 회장이 생각이 짧아서 그런 거죠. 여론조사는 미래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될 겁니다.”아아, 그러세요? 그러십시오. 나는 이제 대꾸하는 것조차 귀찮아 휴대폰 화면만 들여다보았다. 그런데 센서스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양서류가 급격한 속도로 줄어들고 있지요.하지만 이러한 멸종 속도는 추정일 뿐 정확한
건
아니에요. 그래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1964년부터 전세계의 야생 생물을 관찰해 어떤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보전 상태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 결과 연구비도 적게 투자돼 연구 결과 수도 적어진다는 거죠.연구 결과가 적은
건
‘멸종 가능성’과도 연결돼요. 사람들이 그 동물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을 뜻하거든요. 실제로 호주에서는 토종 설치류들이 다른 포유류에 비해 멸종될 확률이 높아요. 1788년 이후 호주에서는 30종의 포유류가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팸의 양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이렇게 경험을 토대로 어떤 사
건
의 확률을 추론할 때 유용한 원리가 바로 ‘베이즈의 원리’입니다. 1701년경에 영국에서 태어난 토머스 베이즈가 확률론에 대해 쓴 원고에서 처음 발견돼 그의 이름이 붙었지요. 이 원리는 지금까지도 스팸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