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삼고요.홀름스트룀 교수에 따르면, 쉽게 확인 가능한 기준으로만 성과를 평가하는 건 몹시 위험합니다. 만약 선생님이 열심히 가르칠 때 학생의 성적이 오를 확률이 99%, 열심히 가르치지 않을 때 학생의 성적이 떨어질 확률이 99%라면, 성적 향상률은 꽤 괜찮은 기준이겠지요. 이 임금 계약 방식으로 ...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속상하잖아요. 나중에 배신을 당하더라도 그 친구가 청취자에게 아예 도움이 안 되는 건 아니에요. 아마 배신하기 전까지는 청취자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줬을 거예요.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꼼꼼히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이점도 무시할 수 없지요. 그래서 삼국시대의 관리들도 나라에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얼마 만에 공을 자유자재로 돌릴 수 있을까요?“운동 신경이 좋으면 공 3개로 돌리는 건 하루, 4개는 한 달, 5개는 1년 정도 걸려요. 하지만 저는 5개 돌리는 데 4년이나 걸렸지요. 하하.”저글링을 잘 하려면 무엇보다도 끈기가 중요하대요. 두세 시간 연습해서 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포기하지 말고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 주변에는 산소 치료기처럼 원기둥 모양인 물건이 많습니다. 놀랍게도 그 물건은 공통적으로 안에 무엇인가를 담는 용도로 씁니다. 뭔가를 담는 통인데 왜 원기둥으로 만들까요? 그 이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세 번째 미션, 동무생각혹시 ‘동무생각’이라는 노래를 들어보셨나요?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살았는데…. 저기 뒷집에 사는 고슴도치랑 프레리독이랑 사막여우도 먼 곳에서 바다를 건너 왔다고 하더라고요. 우리가 바깥 세상에 나가면 사람들은 물론이고 이 땅에 아주 오래 전부터 살았던 동물과 식물들이 아주 싫어할 거래요. 민폐를 끼치고 싶진 않은데, 본의 아니게 그럴 일이 생길까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쫓아 내거나, 큰 몸집으로 이성에게 어필하기에도 유리하다.하지만 큰 몸집이 좋기만 한 건 아니다. 몸집이 너무 비대하면 뼈나 관절에 문제가 생기거나 혈액이나 호르몬이 잘 순환하지 못하는 등 생리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너무 커진 바람에 잘 뛰지 못해서 포식자에게 금방 잡아 먹히거나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식기를 비비는 등 온갖 종류의 성적 행위를 악수나 포옹만큼 일상적으로한다. 독특한 건, 암컷들간의 성적 행동이 암수 사이의 행위보다 훨씬 잦다는 점이다. 보노보 사회가 암컷 위주의 사회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행동 자체가 서로를 알아가고 관계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자, 신뢰를 표현하는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년이 걸려 사라졌을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화학자 크뤼천은 지난 2000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당한 뒤,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전학을 가고 말았어.”“일부러 실험을 방해하다니, 그건 나쁜 짓 아냐? 왜 처벌을 받지 않는 거야?”“그 이유는…, 비밀 과학 집단의 정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야!”이 이야기를 듣고 시원이가 호기롭게 소리쳤어요.“그래? 그렇다면 그 나쁜 녀석들의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과정에서 새로운 정리를 많이 얻었지만, 결국 실패했다.사케리의 노력이 물거품이 된 건 아니다. 뒤를 이어 독일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러시아의 니콜라이 로바쳅스키, 헝가리의 보여이 야노시, 이탈리아의 에우제니오 벨트라미 같은 수학자가 연구를 계속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평행선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