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른 사람의 표정을 보고 거짓말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다. 스위스 제네바대 정신건강의학과 마티유 아르민존 박사팀이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0.1~0.31초 밖에 되지 않는 찰나에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마 지금까지 소개한 것들 가운데 가장 신기하고 놀라운 악기일 것이다. 요리재료도, 건반도, 현도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철냄비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음계가 들리기 때문이다!비밀은 냄비가 찌그러진 정도. 두드리는 부분이 얼마만큼 찌그러졌느냐에 따라 음의 높이가 다르다. 투박한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똑, 똑, 똑…. 시계소리에 맞춰 A기자는 침을 꼴깍 넘긴다. 이렇게 긴장하는 건 원고 마감이 코앞이기 때문이다! 이번 달은 추석 연휴도 있어 편집실이 ‘초긴장모드’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일까. 지난주까지 그렇게 생각이 안 떠오르던 원고 첫 부분이 이렇게 잘 떠오르니 말이다. 그런데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집이 무너지고 다리가 끊어졌지요. 하지만 아직 땅 아래의 힘이 모두 배출된 건 아니었어요. 사람들이 모두 잠든 16일 새벽 1시, 히나구 단층대와 나란히 붙어 있던 후타가와 단층대의 단층들까지차례로 깨지며 지각이 길게 미끄러졌어요. 이 때문에 M7.0이라는 더 큰 지진이 발생했어요.그 결과, 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학자들은 왜 과학을 연구할까요? 많은 과학자들이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할 거예요.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연구실은 좀 더 특별한 것을 연구하는 사람들 ... 과학이 이용된다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미래 과학자를 꿈꾼다면 즐거운 과학에 한번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많아 조합론과 정수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이런 엄청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건 공동연구 덕분이다. 에르되시는 좋은 문제와 인재를 찾아 평생을 돌아다녔다. 정수론이나 조합론에 관심이 있다면 아주 어린 학생도 만나 함께 문제를 풀었다.과학과 달리 수학은 연구하는 데 특별한 장비가 필요하지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정도로 드넓은 우주에서 각자 전혀 다른 방향에서 온 우주배경복사의 온도가 똑같다는 건 놀랍다.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없는데 어떻게 같은 온도로 우리에게 날아왔을까?이는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이자 빅뱅 이론을 무너뜨릴 수도 있는 결과였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만들었다가 수많은 변화를 거쳐 현재의 모양이 됐다. 축구공을 준정다면체로 만든건 전체에 힘을 일정하게 분산해 경기 도중 모양이 변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축구공처럼 정육각형 20개와 정오각형 12개로 이뤄진 준정다면체를 특별히 ‘깎은 정이십면체’라고 한다.깎은 정이십면체는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거 비슷한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목성 표면에 있는 대적반이 주변 난류와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국내에 내진 설계가 도입되기 시작한 것이 1988년부터다 보니 실제로는 적용되지 않은 건물이 많기 때문이다. 서울에만 66만 채에 이른다. ‘신속한 경보’만이 살 길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지진을 예보하고 조기경보한다. 미국지질조사국이 개발한 지진 조기 경보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