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프랑스인의 경우 70~80%이상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거의 모든 사람이 감염된 것이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사람은 감염이 되어도 별 증상이 없지만, 이는 어디까지니 임상의학의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약간의 운동 혹은 감각 능력 저하가 있을 수 있고, 우울감 등 행동이나 정서의 변화도 있을 ... ...
멸종 데니소바인에게서 받은 유전자가
면역
력 강화
연합뉴스
l
2019.09.20
I207L를 가진 쥐가 콕삭키(Cozsakie)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때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더 강한
면역
반응을 보이고 감염저항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레이 박사는 "데니소바인에게서 물려받는 유전자는 인체의 염증 반응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데니소바인 유전자가 인류의 ... ...
제왕절개 아기, 자연분만 아기보다 병원균 더 많이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막기 위해 항생제를 먹는 것을 들었다. 태반으로도 항생제가 퍼지기 때문에 항생제에
면역
이 강한 병원균이 주로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제왕절개 아기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늘려준다며 산모의 질액을 바르는 ‘질액 바르기’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기가 자연분만 도중 질 내 미생물을 ... ...
젊을수록 다발성경화증 걸릴 위험 높고 증상은 더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최근 10년을 주기로 뇌 염증이 27%씩 늘어났다. 뇌척수액 검사 결과 젊은 환자일수록 전신
면역
반응도 더욱 심각했다. 김성민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다발성경화증 환자가 많아지고 증상도 심화하는 원인으로 '패스트푸드 등 인스턴트를 많이 먹는 식문화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소아비만', ... ...
"흑색종
면역
요법에 B세포가 중요한 역할"
연합뉴스
l
2019.09.17
B세포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T세포를 활성화하는지, B세포를 이용해 (흑색종 외의) 암
면역
요법을 개량할 수 있는지 등은 더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 ...
韓美연구팀, 패혈증 2시간 내 검출하는 진단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극미량의 단백질 바이오마커 검출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형광 기반
면역
분석법을 개발했다. 이 분석법은 혈액에서 패혈증 관련 단백질 바이오마커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해 형광 이미지를 구현한다. 박 연구원은 “패혈증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3000만명 이상 발병하고 발병 후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사실 지금도 선뜻 받아들여지지 못한다.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을 비롯하여 다양한 자가
면역
질환에서 기생충 감염 치료가 임상 시험 중이다. 결과가 자못 기대된다. 어떤 기생충을 감염시키는 것이 좋을까? 사람을 대상으로 대충 짚이는 대로 다 시험해볼 수는 없는 일이다. 진짜 친구를 가려야 ... ...
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
면역
항암치료 개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1
항체가 특정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아 공격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 공로로 올해 임상의학 부문 래스커상을 수상한 세 과학자. 왼쪽부터 마이클 셰퍼드 바이오 제약컨설턴트 ... 수도 킨샤사에 있는 응바카건강센터에서 아기에게 예방접종하고 있다. 세계백신
면역
연합 제공 ... ...
옵디보·키트루다 효과본 환자 33.6%…
면역
관문억제제 사후평가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면역
관문억제제 '옵디보주'와 '키트루다주'에 대한 사후평가 연구결과를 10일 공개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대비 종양 ... 점에서 가치가 있다"며 "향후 자세한 연구결과를 관련 학회와 연구기관과 공유해
면역
관문억제제의 전반적인 관리체계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 ...
장내미생물의 또 다른 능력…알츠하이머 치매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치매에 걸린 쥐는 장내 미생물 군집이 크게 변한다. 점차 장 점막
면역
기능이 약해지고 장 조직 세포가 퇴화하면서 장내 독소가 혈류로 유입되거나 면증반응을 유발했다. 결국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이 심각해졌다. 이 쥐에게 선강한 쥐의 장내 미생물을 이식했더니, 염증반응이 나아졌을 뿐 아니라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