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살 곳도, 먹을 것도 없어요~!털매머드는 약 1만 년 전 대부분 멸종했어요. 큰덩치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 전체를 호령하던 털매머드들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 ... ...
Part 2. 독감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독감을 일으키는 것은 바이러스예요. 바이러스는 혼자서 살아갈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의 몸속으로 들어가 빌붙어 살아가야만 한답니다. 그 안에서 바이러스는 영양분을 섭취하고 자손을 낳죠. 이를 ‘감염됐다’고 하고, 감염된 동물을 ‘숙주’라고 불러요. 이 과정에서 몇몇 바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 동굴인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도 일치했다.연구 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
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8000년간 외부유전자의 유입 없이 유전적 연속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발전시키면 전기를 거의 쓰지 않고도 작동하는 ‘無전력 소자’를 만들 수 있다.우 선임
연구원
은 “스마트기기 하나가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초저전력을 달성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며 “스핀소자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법은 차세대 메모리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부서져 나와 녹으면서 연간 350m씩 후퇴했다. #남승일극지연구소 극지고환경연구부 책임
연구원
.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극지해양연구소(AWI)에서 북극해 고기후·고해양 복원 연구를 하고 브레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AWI 쇄빙연구선 ‘폴라스턴’에 승선해 북극해를 탐사한 이후 지금까지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파란색 수탉이 나타났다?! 수탉의 볏과 부리 밑에 늘어져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면 파란색 귀를 쫑긋 세운 것 같은 닭의장풀을 만날 수 있지요. 이 파란색 꽃 모양이 닭볏과 육수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답니다. ... ...
[과학뉴스] 어른이 돼도 자라는 뇌 부위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영상 분석 결과를 검증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제시 고메즈
연구원
은 “나이가 들면 뇌 조직이 줄어든다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커지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영국의 센트럴세인트마틴 예술대에서 미래섬유를 연구하고 있는 에이미 래드클리프
연구원
은 2013년, 냄새를 찍는 카메라인 ‘마들렌’을 만들었다. 원래 향기가 나는 미래섬유를 만들기 위해 고심하다가 냄새를 천에 배게 하는 방법을 떠올렸다고 한다. 마들렌을 이용하면 인위적으로 합성하거나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빠르게 침투하면서 제방 건너편으로 흘러들어간 것이었다. 김남룡 K-water융합
연구원
선임
연구원
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할 때 설정한 조건이 문제였다”며 “제방과 제방에 박아 놓은 콘크리트 벽이 일체가 돼서 움직일 거라 가정하고 실험했는데 그렇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조건을 바꿔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
은 e메일 인터뷰에서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민감도와 신뢰성”이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면역분석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민감도 높은 미세유체칩을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