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우리가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지표는 전체 지구표면의 약 30%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끊임없이 출렁이며 인간의 도전을 유혹하는 검푸른 바다로 덮여있다. 바다 밑 지표는 어떤 모양이고 어떤 물질로 돼 있을까. 태고의 비밀은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우리나라(K-IODP)와 2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지구 속을 보는 첨단 기술들이 이렇게나 다양하게 개발되다니, 정말 놀라워! 덕분에 지구 속 비밀이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다더군. 그런데 뭐? 맨틀 속에 물이 있다고?!맨틀 속에 어마어마한 물이 있다?최근 맨틀에 물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큰 관심을 받았어요.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마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거예요.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에서도 이터븀 원자시계를 개발하고 있어요.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시간센터 유대혁 센터장은 “2020년 이후에는 시간의 기준이 스트론튬이나 이터븀 원자시계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전세계는 지금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원자시계를 개발하기 위해 경쟁 중”이라고 ... ...
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지 올해로 딱 130년이 됐습니다. 400년 전 길버트가 처음으로 마찰전기를 발견한 이후로, 수많은 학자들이 발명하고 연구한 결과 한반도에도 전기가 들어오게 됐지요. 한반도에 전기가 들어온 뒤 전등이 빛을 발했고,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으며 하늘에 전선도 여기저기 걸리 ... ...
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우주를 떠돌고 있는 수많은 신호. 이 떠돌이 신호는 우주의 신비를 품고 있다. 하지만 이를 관측하지 못하고, 기록해서 분석할 수 없다면 아무 것도 알아낼 수 없다. 인류는 이 신호를 관측하기 위해 망원경을 만들었다. 이후에 사진술이 나오면서 객관적으로 기록까지 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혁명이 ... ...
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원리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또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찍은 사진을 활용해 보정한다.암전류 문제 센서에 들어오는 빛을 가리고 300초 동안 촬영하면 센서의 전기적인 성질로 인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과학자들은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그리고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차세대 망원경의 완성이다. 지금보다 더 커지고 좋은 능을 가진 망원경이 지상과 우주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올 하반기에 새로운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낼 계획이 ... ...
[과학뉴스]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알아냈다.연구를 이끈 임상용 한국원자력
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생명공학연구부 책임
연구원
은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을 이용해 방사성 폐기물을 정화하고 처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엠바이오’ 온라인판 2016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
연구원
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