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무궁화가 100일 동안이나 꽃을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이유를 알아냈답니다. 무궁화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꽃을 피우는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다른 식물보다 많다는 것이 밝혀졌거든요.무궁화는 2200만 년 전에 ...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드는 데 발판이 될 전망이다.정현식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과 공동으로 2차원 삼황화린(FePS3)이라는 물질에서 자기적인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조재형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IT기업 iKooB 대표)는 이화여대 뇌융합과학연구원 연구팀과 함께 ‘보드미’라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보드미는 강력범죄 피해자들의 심리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분전환을 유도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화여대 연구팀과 정신건강의학 전문가,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이를 먹고, 이세간 행성의 도서관 도시에 게임 포인트를 모두 기부하고 방문 연구원 명목으로 방을 하나 얻어 지내며, 하루 종일 책을 읽고 서가 사이를 산책하며, 틈틈이 지난 일들을 돌이켜보니 이상하게도 그때 그 퀘스트가 떠오르고, 아줌마가 했던 이야기들이 곱씹힌다. 그리고 비로소 ...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녹는다. 실험 결과, 데이터가 완벽하게 지워졌다.논문의 공동 1저자인 이종하, 유병준 연구원은 “일반 나노입자는 파장이 980nm인 빛만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영역대를 흡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나 보안 시설의 중요 정보 등을 안전하게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설치할 필요 없이 곧바로 무선 인터넷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국제기술혁신협력센터 공적개발원조(ODA)사업단장은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폰과 첨단 ICT를 이용한 적정기술은 문제가 일어난 곳과 해결할 수 있는 사람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할 것”이라고 ... ...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일상 속 소음으로 지구 속을 본다?스웜 위성이 우주에서 지구 내부를 봤다면, 미국스탠포드대학교 나카타 노리 박사팀은 가까운 일상 진동을 이용해 지구 내부를 봤어요.지진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는 퍼져나가면서 땅 속 암석들에 의해 모양이 변해요. 이를 통해 지구 내부 구조를 짐작할 수 있지요. ...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느덧 우리의 탐험도 막바지에 이르렀군! 탐험의 종착지는 지구 가장 안쪽에 있는 핵이라네. 지구 가장 깊숙한 곳으로 들어갈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설레지 않나?태양이 동쪽에서 뜨는 이유가 핵 속에 있다?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태양이 동쪽에서 뜨는 이유가 지구의 자전에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경복궁에 빛이 들어오기까지지금으로부터 130년 전인 1887년 3월 6일 저녁.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경복궁에 작은 전구 하나가 깜빡 하더니 눈부신 빛이 주위를 밝혔습니다. 마침내 우리나라 최초로 전등이 점화됐습니다. 1882년 고종 19년, 조선은 미국과 통상 조약을 맺고, 미국에 사절단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PDP-1을 연구용으로 기증합니다. 당시 공대생이었던 스티브 러셀은 연구원들과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모니터)의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합니다. 이것이 바로 슈팅 게임 ‘스페이스워!’지요.스페이스워!는 비행기가 모든 걸 빨아들이는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요리조리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