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과학동아 l2002년 08호
- 비교해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SNP 정보를 알아내면, 인간의 질병에 관련된 유전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 이에 대한 해답은 아직 모르지만, 올해 컨소시엄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침팬지의 22번 염색체의 염기서열 약 35Mb(3천5백만개)가 완전 해독되면, 이에 대한 ...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위치에 따라 유전자 발현 여부가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경우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말단체(telomere) 부분은 핵막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말단체의 끝부분은 핵막에 고정돼 있다. 그러나 말단체의 구조가 파괴되거나 변형돼 핵 속에서 좀더 안쪽으로 위치하면 억제됐던 ...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채유법(採油法)의 하나 유전 또는 인근의 가스전(田)에서 분출되는 고압(高壓) 가스를 유전의 중앙부에 있는 갱정(坑井)에서 압입(壓入)하여 유층(油層) 내의 유체 압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유압층(油壓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가스속(屬)에서 천연 가스를 채취할 때 지표에서 응축분리(凝縮分離 ...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실제 실험을 하지 않고도 컴퓨터에서 세포를 배양하고,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단백질과 유전자를 발굴하는 일이 가능해진다.이미 지난 2001년, KAIST 이상엽 교수는 바이오인포메틱스(주)와 함께 멘하이미아균에 대한 가상세포의 초기형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균은 식품첨가물과 공업용 원료로 큰 ... ...
- 재미 과학자 뇌세포 사멸 역할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8호
- 발표했다.유박사는 임신중인 쥐의 태아에서 뇌세포를 추출해 배양한 다음 특수 물질로 유전자를 손상시켰다. 그런 후 컨포컬 현미경이라는 특수 미세 광학현미경으로 세포 내 변화를 관찰하고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뇌의 신경세포는 보통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멸과정을 밝히는 것이 뇌질환 ... ...
- 군사용으로 출발, 의료까지 적용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열형 감지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온도(열)의 작은 변화에 전류 변화가 큰 강유전이나 고유전 세라믹 물질의 박막형태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이 박막을 지지하는 동시에 기판으로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미세가공기술인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구조체가 필요하다. 박막은 30-50μm ... ...
- 예방주사 대체하는 백신 바나나과학동아 l2002년 08호
- 되고 있는 식품의 안전성 역시 2010년에는 상당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유전체학의 발전과 더불어 빠르고 정확하게 식품의 안정성을 검색하는 방법이 연구·개발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바이오센서와 바이오 측정키트을 이용해 식중독균을 현장에서 가려낼 수 있다. 또한 GM 식품에 관련된 ...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과학동아 l2002년 08호
-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런 결과들을 암 정복의 무기로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유전자들의 기능을 빠르고 정밀하게 분석해 그 결과를 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게놈연구를 위한 인프라와 관련 기술, 인적 자원 확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 사랑의 노래로 구애하는 고래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노래를 하지 않는 고래를 구분하고, 작은 화살로 각각의 피부 샘플을 얻었다. 샘플의 유전자를 분석해 그들의 성을 알아본 결과, 수컷 긴수염고래가 저주파의 노래를 큰 소리로 부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영국 세인트 앤드류스대의 음성학 전문가인 빈센트 야닉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수컷 ...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이용해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데, 실온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적당한 나노 크기의 강유전체를 연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05년 정도에 본격적으로 상품화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미국의 램트론사이고, 일본의 도시바, NEC, 히타치, 그리고 우리나라 삼성전자 등이 개발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