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자가 운동선수를 지배하는가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수 있을 만큼 쌓여있지는 않다. 어쩌면 우리세대에서는 찾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유전학이 기대하는 문제는 사람이 생리적으로 운동에 어떻게 반응할것인가를 알아보는 점이다. 그럼으로써 우리가 운동에 참여하는데 더 맛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 ...
- 진화 속도 생각보다 빠르다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서로 비교해 속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시계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0.02s/s/Myr다. 이 숫자는 한 지역에서 1백만년 동안 2% 정도 DNA에 변이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또한 모든 동물의 DNA 중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부위(HVRI)의 분자시계는 0.208s/s/Myr 정도였다.그런데 램버트 ...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더욱이 생활 여건이 향상된 요즘, 건강은 현대인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유전체학(게노믹스)와 단백질체학(프로테오믹스)를 중심으로 한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봇물처럼 쏟아지는 최근에는 새로운 약에 대한 ‘갈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하지만 신약개발은 물질의 ...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유리하다. 최근 생명공학의 발전은 신약개발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다. 속속 밝혀지는 유전자와 단백질의 비밀은 신약개발 가능성을 점차 높이고 있다. 유 단장은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기술은 세계적이죠. 각 분야에 흩어져 있는 세계적 결과들을 한곳에 모아, 이를 신약개발에 활용한다면 ...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단백질 구조연구에 매달리는 이유다.현재 인간의 체내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는 약 8천개 정도가 알려져 있다.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이 숫자는 약 3-4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서 기능을 조절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질환단백질은 현재까지 5백개 정도가 알려져 있다. 시중에 ...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이유는 무엇일까. 소아 비만은 영양 과잉과 잘못된 식습관, 활동 감소 등의 영향과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합해진 복합적인 양상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비만 아동들은 신체적 발육 뿐 아니라 정신적 발육에도 큰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사람보다 뚱뚱하다는 신체적 결함을 이유로 학교 ...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성 물질이 유입되면 빛을 발생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미생물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미생물의 빛을 감지해 독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미래 ET산업의 핵심다양한 물 재이용기술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 ...
- 평생 충치 예방하는 치약과학동아 l2002년 03호
- 박테리아가 설탕을 젖당으로 바꾸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약에는 이 박테리아를 유전공학을 이용해 젖당을 생산하지 못하는 변종 박테리아가 포함돼 있어 충치를 막을 수 있다.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다량의 설탕을 섭취한 쥐의 이빨이 썩지 않았고, 오히려 ... ...
- 갑각류가 곤충으로 진화된 단서과학동아 l2002년 03호
- 것이다”라고 말했다. 4억년 전 몸의 모든 분절에 다리가 달려있던 갑각류의 규제유전자에 변형이 발생, 다리가 6개 달린 곤충을 비롯해 여러 새로운 형태의 동물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과학동아 l2002년 03호
- 하다. 파필로마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기타이밖에도 유전자 치료벡터로 이용되는 아데노 바이러스, 아데노 부속바이러스, 레트로 바이러스 등도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