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생충 같은 프로그램이 생겼다. 기생충 프로그램은 바이러스가 숙주의 효소를 이용해
유전
자를 복제하듯, 주변 프로그램의 복제기능으로 자신을 복제한다. 이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것은 생존에 필요한 요소와, 자신이 침입한 원래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없도록 방해하는 기능이다. 결국 자신만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작용 덕분이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한 생명공학 기술로 항생물질이 개발되고 있으며,
유전
자 치료의 도구로도 미생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미생물의 힘’은 75가지의 짧은 글을 통해 미생물의 특성과 행동, 그리고 인간 역사에 미친 미생물의 영향을 보여주는 책이다. 미생물에 대한 일반적인 ... ...
다윈의 진화론 반박하는 새 이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미국 일리노이대 칼 위즈 박사팀은 6월 18일자 ‘미 과학학술원회보’(PNAS)에 다윈의 진화론과는 다른 새로운 세포 진화이론을 발표했다. 위즈 박사에 따르 ... 따르면 진핵생물과 원핵생물, 고세균은 각각 별도의 진화과정을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서로의
유전
자를 교환해 왔다는 것이다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0배 이상 많아 인간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힌다. 연구자들은 여왕개미가 하나뿐인 불개미의
유전
자를 복수의 여왕개미를 섬기는 집단에 퍼뜨림으로써 불개미 사회의 자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바야흐로 인간이 곤충세계의 해커들을 해킹하기 시작한 것이다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빠른 시간 안에 검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MEMS 기술을 이용한 DNA칩에
유전
자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샘플에 미리 염색을 해야 한다. 이는 칩에서의 반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다. 염색은 일종의 꼬리표 역할을 하는 셈이다.문제는 이 염색과정이 DNA칩의 집적도에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용해 빌딩 숲을 누비는 장면은 스파이더맨 최고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슈퍼 거미의
유전
자로 인해 파커의 손목에 거미줄 샘이 생겼다는 것까지 봐주자. 그러나 건너편의 빌딩까지 힘차게 거미줄을 분출할 수 있을까. 이 세상에 거미줄을 발사하는 거미는 없다. 거미줄은 거미줄샘에서 분비된 액체 ... ...
다윈의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년 라마르크(J.B.Larmark)가 발표한 ‘동물학’과, 이후 소위 용불용설로 불리는 획득형질의
유전
에 대한 그의 이론이다.다윈의 진화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사상 중 하나는 맬서스(T.R.Malthus)의 ‘인구론’이다. 다윈은 이 책을 통해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생존경쟁과 자연선택’이라는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모양을 갖는다.단백질을 이루는 기본 요소인 아미노산의 배열정보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
자의 염기서열로부터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아미노산이 어떤 순서로 연결돼 있는지만 보여주는 2차원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현재 아미노산의 배열정보에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자신의 생산물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장치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즉 사람의
유전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불행히도 노이만은 자동자 이론을 완결짓지 못하고 생을 마쳤지만, 생명의 논리적 구조를 탄소유기물과 단순기계로부터 해방시켜 후대 과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들 B 세포와 T 세포는 약 ${10}^{16}$ 정도의 외부 분자를 구별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유전
자가 ${10}^{5}$종류의 항체를 암호화하고 있다는 사실로 미뤄볼 때 매우 놀라운 점이다. 즉 항체는 특정 항원에 대해 정해진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항원에 따라 자신의 구조를 바꾼다는 의미다.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