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는 수채화다.
세포
의 유전물질은 빨강과 오렌지색으로,
세포
질은 파랑과 자주색으로,
세포
막과 관련 단백질은 녹색으로, 마지막으로 혈액은 갈색과 노란색으로 표현됐다. 이 그림은 미 라호야에 위치한 스크립스 연구소 내 통합 분자 생물학 센터의 입구를 꾸미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중합효소는 복사기에 해당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건물해체현장의 불도저와 같고
세포
막에 있는 이온채널은 출입카드로 열리는 문을 연상시킨다.따라서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도약하기 위해서는 개별 생체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히 알아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지난 10-20년 동안 나노기술이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환경에서 제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펩티드 젤은 줄기
세포
치료를 비롯한 미래의
세포
기반 치료에 널리 쓰일 전망이다.단일 결정에 패턴을 만드는데도 자연의 상향식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마이크로 렌즈를 비롯해 단일 결정 소자는 전자와 광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데 그 제조방법이 여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각했다. 단일 소자를 원자 수준에서 측정, 제어할 수 있는 표면과학과 나노과학 기술을
세포
나 미세한 생물을 관찰해야 하는 생명과학에 적용하는 야심찬 계획이 바로 나노·바이오 융합 사업이다.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문 박사가 내건 슬로건은 특이하게도 ‘No 벤치마킹’. 새로 사업을 시작할 때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여성이 좀더 크다. 또한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일부 신경핵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세포
가 많다.하지만 이와 같은 뇌의 구조적인 차이가 남성과 여성의 행동, 적성, 인지능력에서 어떤 차이를 유발하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남성과 여성 간에 나타나는 뇌 구조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동한다. 이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전위차’가 생기고 이것이 마치 전기처럼 신경
세포
를 타고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선천적으로 후각 이상이 생기며 생식기에도 문제가 생기는 ‘칼만 증후군’ 이라는 병이 있다. 이 병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후각 유전자가 고장나는 것이다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센서를 부착하면 한층 고차원적인 약물전달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타겟이 되는
세포
표면을 인식하는 부분을 붙이고 핵속으로 진입한 후에는 입자가 핵표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도 도입하고 있다.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앞으로 분자설계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변형된 누룩
세포
를 이식해 유해물질을 맞닥뜨리면 저절로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
세포
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유해물질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벌레는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합을 끊는 분자기계가 이미 존재하고 있다.대표적인 분자기계로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
내 소기관인 리보솜을 들 수 있다. 리보솜은 3-4개의 RNA와 수십개의 단백질로 이뤄진 분자복합체로 DNA의 정보를 담고 있는 전령 RNA의 메시지를 읽어들여 아미노산을 재료로 수많은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최근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따르면 이는 남성과 여성의 문제를 떠나 ‘생명체’ 이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줄기
세포
에서 아직 간을 만들 수 없는 이유는 생명체 안에서 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수정 후 태반이 생기고 태아가 자라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