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증가한다. 따라서 이 설명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주장도 있다.셋째, 수많은 신경
세포
를 연결하는 시냅스가 형성되는 시기에는 렘수면이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잠을 자는 동안 뇌의 기능을 시험하게 된다는 이론도 있다. 유아기 때 전체 수면 시간과 렘수면 시간이 증가하는 이유는 형성된 ... ...
고양이 복제, 세계 2번째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세포
의 핵을 난자에 집어넣는 방법.연구팀은 “1년생 애완고양이(터키산 앙골라)의 체
세포
를 떼어내 복제 수정란을 만든 뒤 대리모 8마리에 이식한 결과 대리모 4마리에서 6마리의 복제 고양이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7월 28일부터 10일간에 걸쳐 태어난 6마리 가운데 1마리는 출산과정에서 숨졌으나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대부분이며 동물 중에서 가장 하등한 종류이다 생물의 생활사(生活史) 전체를 통해 단
세포
로 존재하는 생물 세균 · 남조류(藍藻類) 등의 원핵생물(原核生物)과 원생동물 · 편모조류(鞭毛藻類) · 규조(珪藻)의 대부분, 진핵생물(眞核生物) 중 일부 접합조(接合藻)와 녹조(綠藻)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바꾼다. 플루토늄 입장에서 보면 한 개가 사라지는 대신 2개가 새로 생겨나기 때문에 암
세포
가 증식하듯 핵연료가 계속 늘어나는 셈이 된다.쓸 수 있는 우라늄 양도 크게 늘어난다. 광산에서 우라늄 광석을 캐내면 그 안에 현재 쓰이는 우라늄235는 0.73% 밖에 없고 나머지는 우라늄238이다. 한 박사는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렇다면 햇빛이 어떻게 피부성분물질에 변화를 일으킬까? 연구팀은 자외선이 피부
세포
에서 이뤄지는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즉 나이가 들면 피부의 항산화시스템이 망가져 피부노화가 일어나며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이런 증상이 가속화된다는 것이었다.원래 산화는 동물이 ... ...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임상시험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런 일련의 연구들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던 신경
세포
의 재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최근의 연구 속도로 볼 때 과학자들이 이 분야를 정복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필자는 생각한다. 2000년 전 예수의 말씀 같은 종교의 힘으로만 가능했던, 전신마비 환자가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期節的消長) 등 세 가지 현상에 관여한다눈자루나 사이너스선을 제거하면 표피의 색소
세포
는 수축 또는 확장하는 능력을 잃고 환경의 색채와 명암(明暗)에 적응하는 반응을 못하게 되며, 탈피가 촉진되고 생식선은 정상적인 생식기절(生殖期節)이 아니라도 급속히 발달하게 된다 2개의 인접한 원자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OH) 개수에 따라 시아니딘(2개), 펠라고니딘(1개), 델피니딘(3개) 등 3가지로 나뉜다. 꽃잎
세포
질에서 만들어진 안토시아닌은 액포에 저장돼 꽃잎에 색을 부여한다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냉수나 알칼리 등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나이세리아과(科)의 진정 세균류 몸은 두
세포
씩 밀착된 구균(球菌)이며 서로 부착된 면은 다소 편평하게 되어 있다그 때문에 쌍구균(Diplococcus)이라고 불렸던 때도 있었다그람염색에서는 음성이며 황색 또는 갈색으로 염색되는 경우도 있다병원성이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극저온 냉동 보관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수정체나 줄기
세포
, 효소 등 작은
세포
들을 극저온 냉동보관하는 기술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조직을 냉동 보관하는 기술은 성공한 사례가 없다. 저온공학 연구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극저온 연구의 메카 저온공학 연구실의 앞날이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