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따르면 이는 남성과 여성의 문제를 떠나 ‘생명체’ 이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줄기
세포
에서 아직 간을 만들 수 없는 이유는 생명체 안에서 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수정 후 태반이 생기고 태아가 자라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여성이 좀더 크다. 또한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일부 신경핵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세포
가 많다.하지만 이와 같은 뇌의 구조적인 차이가 남성과 여성의 행동, 적성, 인지능력에서 어떤 차이를 유발하는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남성과 여성 간에 나타나는 뇌 구조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동한다. 이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전위차’가 생기고 이것이 마치 전기처럼 신경
세포
를 타고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선천적으로 후각 이상이 생기며 생식기에도 문제가 생기는 ‘칼만 증후군’ 이라는 병이 있다. 이 병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후각 유전자가 고장나는 것이다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센서를 부착하면 한층 고차원적인 약물전달시스템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타겟이 되는
세포
표면을 인식하는 부분을 붙이고 핵속으로 진입한 후에는 입자가 핵표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도 도입하고 있다.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앞으로 분자설계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분이 항암작용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BB-pol’ 이라고 이름붙인 이 물질은
세포
내에서 당 성분을 조절하는 카이로이노시톨과 포도당(글루코오스)으로 이뤄져 있다. 앞으로 건강보조식품에 쓰이고 있는 항암성분인 글루칸의 효능과 비교하는 추가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비피더스균은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들어있다.
세포
1개에 들어있는 DNA를 쭉 늘어놓으면 길이가 1.8m 정도다. 우리 몸의
세포
수가 60조개이니, 전자를 다 꺼내서 붙이면 약 1천억km가 된다. 인간은 지구 둘레를 무려 2백50만번이나 돌아야 하는 엄청난 길이의 DNA를 갖고있는 것이다.이처럼 놀라운 생명체를 연구해 인류에게 유익하게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각 레플리콘에는 레플리케이터라는 구조부분 및 이니시에이터(initiator)라는
세포
질성 물질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생각할 수 있다 레헤르선의 길이를 바꾸어 가면서 입력고주파에 공진하는 점을 구해 그 파장을 알아내는 장치은하의 형태 분류상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중간형 SO은하라고도 한다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단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실험의 핵무기 관련성은 마치 줄기
세포
연구를 갖고 인간복제를 한다는 얘기와 같다”고 덧붙였다.우라늄농축에 쓰였던 레이저 동위원소 장치로는 핵무기에 쓰일만한 우라늄을 얻을 수 없다. 핵무기로 쓰이려면 우라늄-235가 90%를 차지하는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위성
세포
가 손상부위로 몰려가 근섬유와 융합하면서
세포
핵을 제공한다. 이렇게 첨가된
세포
핵이 활동함으로써 손상된 섬유가 더 굵어진다. 이처럼 운동은 근육이 원하지 않는 변신을 하게 만드는 스트레스인 것이다.이러다가 운동을 그만두면 근육은 다시 쪼그라든다. 필요 이상의 근육을 달고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세포
막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 공로로 1988년노벨화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000년
세포
내소기관인 리보솜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와 미 예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