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준에 있었다. 또한 중인 산
학자
들의 의욕적 연구와 저술 활동, 사대부 수
학자
와 중인 수
학자
의 합류, 유럽 수학과의 접촉이 이뤄져서 독자적 수학 발전의 계기가 마련됐다. 이때야말로 비로소 수학이 독립과학으로서 정립되기 시작한 시기였다.1895년(고종 32)에 시작된 새로운 수학교육은 유럽식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눈에 띄는 주홍빛의 날개를 갖고 있는 곤충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었다면, 그 동안 곤충
학자
와 학생들에게 발견이 되었어야 하네. 그런데 꽃매미가 공식적으로 확실하게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 또한 꽃매미는 수 세기 전 중국의 본초강목에도 등장하고, 한약재로도 사용됐던 유명한 녀석일세.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시기에 같은 대학에서 로버트 머튼도 같은 주제를 혼자서 연구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
학자
모두 자신이 만든 방정식에 따라 투자했다가 크게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1997년에는 금융분야를 발전시킨 기여로 블랙과 숄즈에게 노벨 경제학상의 영광이 돌아갔다. 그러나 블랙은 안타깝게도 95년에 ... ...
Part 4. 남녀의 수학차이 사라져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찾아 더 잘할 수 있도록 학회가 돕고 있지요. 학생들에게 모델이 될 수 있는 여성 수
학자
를 앞으로 더 많이 소개할 계획이랍니다.★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 특히 여자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지금은 남녀 차별이 없는 시대예요. 누구나 집중력을 가지고 자신있게 공부하면 수학을 잘 할 수 ... ...
만화가와 천문
학자
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행성 200개를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과
학자
들이 현재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을 우주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까? 달보다 소행성에 가는 비용이 오히려 적게 들어요. 따라서 달보다는 지구에 가까이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첫인상은 부정확한 경우가 많다. 1946년 미국의 사회심리
학자
솔로몬 애시 박사는 첫인상의 함정을 잘 보여주는 실험을 했다.애시 박사는 두 그룹으로 나눈 학생들에게 가상의 인물을 묘사하는 정보를 준 뒤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도록 했다. 첫 번째 그룹에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야 할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면 되지 않을까.미국 컬럼비아대 지구물리
학자
클라우스 랙커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는 인공나무인 ‘에어 스크러버’를 연구하고 있다. 에어 스크러버는 이산화탄소와반응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구조물로 나무처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단하다.수
학자
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
학자
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만일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한다면 무한히 많은 소수를 포함하는 소수 수열을 알아 낼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이 외에도 소수에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D-아미노산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생제의 주성분으로도 쓰인다. 1928년 영국의 미생물
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푸른곰팡이(Penicillium )에서 페니실린을 발견한 이래 임상에서 쓰이는 천연 항생제의 상당수가 아미노산을 기초로 한 펩티드계 분자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펩티드계 항생물질을 구성하는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