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 다음날에는 국제우주대회 제38차 세티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여기에 참가한 세티 과
학자
들을 중심으로 세티 코리아 외국인자문위원회가 구성됐다. 10월 31일에 열릴 대한민국 별 축제 행사에서는 세티 코리아 선포식이 진행된다.이날 코리아앳홈 플랫폼에서 실행될 KVN 재활용 관측자료의 처리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유수의 천문학 연구기관들을 소개하고 개인적인 인연과 인상을 전해주고 있는데, 천문
학자
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는 가슴을 뛰게 하는 자극이 될 것이다.● 알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즐겁지 않아도 웃는 표정을 하고 있다 보면 전보다는 조금 더 즐거워진다는 거지.
학자
들은 표정 근육이 움직이면 신경을 통해 뇌에 어떤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이 이론과 비슷한 이야기를 가장 처음 한 사람은 찰스 다윈이었어. 다윈은 신체의 변화가 ... ...
신비한 수 π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1844년에는 독일의 수
학자
요한 다제가 소수점 200자리까지 구했다. 1873년 영국의 수
학자
윌리엄 생크스는 15년에 걸쳐 π값을 소수점 707자리까지 계산했다. 안타깝게도 1945년 생크스의 계산에서 527자리부터 오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각형을 이용한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으로 소수점 35자리까지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등이 관객에게 선을 보였다. 이 중 '생명의 나무, 다윈’은 우리나라 순수 창작극으로 과
학자
다윈의 고뇌와 갈등에 대해 다룬다. 한편 첨단 과학기술을 응용해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다. 비디오아트는 수많은 텔레비전으로 구조물을 만든 뒤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노벨이 사모하던 여인이 자기 대신 수
학자
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 수
학자
는 수학적 업적이 높고 스웨덴에서의 영향력도 커서 첫 번째 노벨 수학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합니다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해독 방법이 알려지면서 암호전문가들은 혼란에 빠져있었어. 게다가 이탈리아의 물리
학자
굴리 엘모 마르코니가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암호의 필요성은 더욱커졌지. 전선이 없어도 통신을 할 수 있었지만 적이 통신 내용을 듣는다면 정보가 노출되기 때문이었어. 때마침 1차 세계대전이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백만 개의 작은 CCD(광다이오드)가 나열돼 있다.CCD는 1969년 미국 벨연구소의 물리
학자
보일 박사와 스미스 박사가 처음 개발했다. 재밌는 것은 그들이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땐 성능이 뛰어난 메모리칩을 만들 목적이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두 박사는 우연히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 쓸 수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네이처’2007년 12월 13일자에 실린 연구결과다. 미국 하버드대와 텍사스대 인류
학자
들이 발표한 이 논문은 직립보행이 영장류 골격에 일으킨 변화를 분석하면서 침팬지 암컷과 인간 여성이 임신해 몸이 무거워졌을 때 척추가 받는 힘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분석했다. 과학동아도 2008년 4월호에서 ... ...
대포 쏴 달나라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 연구팀을 이끄는 존 헌터 박사는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재직했던 물리
학자
다. 그는 1990년대에 비슷한 목적으로 만들었던 포신 47m짜리 대포를 이번 연구의 기본 모델로 하고 있다고 뉴사이언티스트는 밝혔다.헌터 박사팀이 구상 중인 초대형 대포는 사람이 아니라 부품이 없는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