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y의 값이 정해진다.수학에 푹 빠진 사람들⑤알프레드 레니(1921년~1970년)헝가리의 수
학자
레니는 확률 이론에 큰 공헌을 했으며, 조국인 헝가리에 수학연구소를 세웠다. 그 역시 수학에 관한 멋진 명언을 남겼다. 한번 읽어 보시라."내가 괴로울 때는 괴로움을 없애기 위해 수학을 공부했고, 내가 ... ...
2014년 국제수
학자
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
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빛나고 있었다. 수학계의 올림픽, 월드컵이라고 하는 국제수
학자
대회를 통해 온 국민이 수학으로 즐거워지는 그 날이 기다려진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세포의 움직임도 잡아낼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촬영 속도가 빠른 카메라가
학자
들의 손에만 들려 있는 건 아니다. 최근 일본의 한 전자기업은 지난 2월 초당 1000프레임 속도로 동영상을 찍는 소비자용 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발표했다. 영화 한 장면이 초당 24프레임으로 구현된다는 사실을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
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밀이 아닌 기장이라는 사실이다. 기장은 밀보다 경작한 지 얼마 안 된 식물이다. 따라서
학자
들은 이보다 더 오래 전에 밀로 만든 국수 형태의 음식이 생겼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가늘고 기다란 형태의 음식이 탄생하게 됐을까. 이에 대한 답을 알려면 먼저 밀의 특성을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
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는 근접장스캐닝광학현미경(NSOM)을 만들어 아베의 법칙을 극복한 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NSOM은 렌즈를 이용해 상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한 번에 한 점의 소멸파 데이터를 측정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인지과정’이 빚어내는 문제라고 보고 있다.“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인지과
학자
다니엘 카네만은‘인간은 비합리적’이라고 했어요. 저 사람이 가진 지식과 이 사람이 처한 상황이 만날 때 항상 합리적인 상호작용만 이뤄지는 건 아니죠. 최선의 해결책을 찾을 수도 있지만, 돌이킬 수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못했다.“대한토목학회에서 2005년 생태공학분과를 신설한 이유도 토목공
학자
와 생태
학자
가 함께 논의해 자연과 공존할 수있는 구조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입니다.”양권열 위원은 원래 생태학도였는데, 대학원에서는 생태공학을 전공했다. 생태공학(ecological engineering)이란‘인간과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신경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뉴로사이언스’ 8월호에 실렸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
학자
사이키 루이 박사는 실험 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음치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 앞부분인 전두엽과 옆부분인 측두엽이 서로 주고받는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가을 전어 맛있는 이유는 지방 때문시인이여, 저무는 가을 바다로 가서 듬뿍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