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드는가. 볼록한 공과 반대로 움푹 들어간 느낌이 전해지지 않는가.최근 촉각 일루전은 과
학자
들의 연구를 통해 속속 새로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촉각 일루전 연구가 활발해진 이유는 무얼까. 촉각을 이용해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햅틱스(컴퓨터 촉각 기술)가 발전하는 데 촉각 일루전에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통하는 15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이 책은 과학의 정체성, 과학적 연구 성과의 가치, 과
학자
가 된다는 의미를 다뤄 과학 기술 사회에 대해 성찰하고 우리는 어떤 미래로 가고 있는지 말한다. 과학 기술과 사회의 소통 문제를 제기하고 과학 기술 연구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과학 기술적 논리의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최초로 확인된 순간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물리
학자
인 제임스 앨프리드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 벨트’로 명명됐다. 밴 앨런 벨트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풍의 입자들이 고밀도로 응축돼 있는 영역을 말한다. 맨눈으로 보기만 해도 시력에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연구 결과가 ‘실험생물학’ 12월호에 실렸다.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의 생물
학자
야스퍼 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의 한 종류(Halisarca caerulea)를 살아 있는 상태로 수집해 세포분열을 관찰했다.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유기물을 먹는 이 동물은 계산대로라면 3일마다 몸집이 2배로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미 탄소와 토리첼리안 진공 튜브를 이용한 백열전구 특허가 나와 있었고, 영국인 물리
학자
죠세프 윌슨 스완도 1870년대 중반에 진공 유리구와 탄화 종이 필라멘트로 만든 전구 실험에 성공을 거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전구는 아직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그런데 이 무렵 187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가브리엘관 704호에서는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를 주제로 강연이 열렸다. 의료법윤리
학자
이자 김 할머니 연명치료 중단 소송과 관련해 세브란스병원 윤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예방의학과 손명세 교수가 강연자로 나섰다. 존엄사, 환자의 의지 존중해야손 교수는 이날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야 할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면 되지 않을까.미국 컬럼비아대 지구물리
학자
클라우스 랙커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는 인공나무인 ‘에어 스크러버’를 연구하고 있다. 에어 스크러버는 이산화탄소와반응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구조물로 나무처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즐겁지 않아도 웃는 표정을 하고 있다 보면 전보다는 조금 더 즐거워진다는 거지.
학자
들은 표정 근육이 움직이면 신경을 통해 뇌에 어떤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이 이론과 비슷한 이야기를 가장 처음 한 사람은 찰스 다윈이었어. 다윈은 신체의 변화가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해독 방법이 알려지면서 암호전문가들은 혼란에 빠져있었어. 게다가 이탈리아의 물리
학자
굴리 엘모 마르코니가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암호의 필요성은 더욱커졌지. 전선이 없어도 통신을 할 수 있었지만 적이 통신 내용을 듣는다면 정보가 노출되기 때문이었어. 때마침 1차 세계대전이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