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연"(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병을 통제한 예가 있다. 소아마비 천연두가 그 대표적 성공사례이다. 그러나 이는 우연하게도 이들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하지 않으며 사람만이 유일한 숙주였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운 좋은 사례이다. 에이즈바이러스는 빠른 속도로 변하고 진화하며 환경에 잘 적응하므로 백신개발이 거의 ...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중력간의 비를 구해본 결과 앞선 말한 무차원의 ${10}^{39}$이라는 숫자가 나타난 것이다. 우연의 일치라고 해도 너무할 정도로 ${10}^{39}$이라는 큰 숫자가 계속 나타나는 것이다.누구든 이 시점에서는 이 숫자 속에 아직 우리가 모르는 심오한 자연의 진리가 숨어있다고 느낄 수 있다. 여기에 흥미를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것이다. (그림 4)에 이 네 기록이 있는 시기와 금성의 등급이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두 우연의 일치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을 만큼 금성이 밝아지는 때와 꼭 들어맞고 있다.한편 앞서 지적하였듯이 기상조건이 좋은(즉 먼지나 수증기가 없어서 하늘의 색깔이 매우 검푸른) 경우 금성은 평소에도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대해서 두가지의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그 하나는 생명체의 진화란 지극히 특수한 우연적인 사건에 의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은하내에 지적문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견해이며, 다른 하나는 매우 현실적인 문제로 SETI의 의미는 인정하지만 과연 그것이 거액의 돈을 들여 ...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세계는 공룡이 존재하고 있었다면 가능하지 않았다고 지금은 여겨지고 있다.집단멸종이 우연의 요소가 개입된 것이라는 입장에 의거, 그 원인을 밝히는데도 각양각색의 가설이 있다. 최근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소행성충돌설과 화산분출설이다. 그 원인이 지구밖에서 온 것이냐 지구 ...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어떤 것일까. 이에 대한 명쾌한 답은 아직 불가능하다. 다만 식물이 이루는 구조가 우연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신할 뿐이다.별탄생의 요람, 나선팔은하는 우주의 기본 단위이다. 우주공간에는 1천억개에 달하는 은하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은하는 1천억개의 별과 먼지 가스로 ...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우주, 열린우주의 운명을 밟아갈 것이다. 개개의 우주는 시작과 끝이 있을지 몰라도, 우연이 지배하는 혼돈의 세계에서 영원히 반복돼 일어나며, 그 모든것을 아우른 전체 우주는 영원하다(그림 참조).린데는 이 과정이 마치 한 개인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짧은 삶을 누리나, 인류는 오래 지속되는 ...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전자회로의 기본 부품인 진공관과 트랜지스터가 모두 증폭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절대 우연이 아니다..(그림3)은 진공관과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동작원리를 보인 것이다. 양극과 음극 사이, 또는 소스(source, S)와 드레인(drain, D)사이의 전자 전달통로가 그리드(grid, G)나 게이트(gate, G)의 전압에 ... ...
- 지구과학 - 신대륙이동설 판운동의 발견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유럽에 붙이면 꼭 들어맞는다고 생각했다. 1620년 베이컨은 이와같은 현상은 결코 우연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1688년 플라셋은 "노아의 홍수 이전에 미국은 세계의 다른 부분과 붙어 있었다"라는 가상 수상록을 쓰기도 했다. 이로부터 2백년 후 스나이더는 석탄기의 유럽과 미국의 식물 화석의 ...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이론'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17세기 파스칼이 확률개념을 처음으로 주장했을 때 그 '우연성의 이론'이 수학체계를 형성하리라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현재 확률은 수학이론의 중요한 한 분야다. 그와 마찬가지로 앞으로 애매성은 실용성뿐만 아니라 수학이론으로서 확고한 자리를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