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뜻밖
우연성
불안
추측
요행
d라이브러리
"
우연
"(으)로 총 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멘델은 여러 개의 대립 형질 중 뚜렷하게 대립되는 7개의 형질을 고른 것으로 생각되며
우연
히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는 7쌍의 대립 형질을 선택한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별로 과학적이지 못하며 멘델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멘델은 분명히 완두에 7종류보다 많은 대립 형질이 ... ...
PART.1 컴덱스쇼로 예측하는 '94 신기술 새경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APEC)가 미국 태평양 연안의 수많은 도시 가운데 하필 시애틀에서 열리게 된 것은
우연
치곤 의미심장한 알이다. 미국이 '태평양국가'임을 선언하면서 아태지역의 협력과 유대를 힘주어 강조했던 그 곳, 시애틀은 미국 산업경쟁력의 숨은 본거지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미국 최대의 항공기 제조업체인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라고 한다.대륙판들이 이렇게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모였다가 흩어지는 현상이 단순한
우연
인지 어떠한 과학적인 원인이 있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아서, 여러 학설들이 주장되고 있다.캘리포니아 공대의 앤더슨(Don L. Anderson)은 그 원인을 해양판과 대륙판의 열전도 차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
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얼마 안되지만 그곳에는 운명의 장난과 같은
우연
의 드라마가 전개된다. 우리 인간은
우연
이 겹쳐 쌓인 3억분의 1이라는 확률로 선택된 정자와 난자로부터 태어나는 것이다. 정자-생명의 로켓정자는 남성의 고환에서 생산되는 성세포로 정충이라고도 부른다. 길이는 약 0.02mm이며, 머리와 경부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가득차게 되는데 이는 뇌의 수면 단계 사이의 시간과 정확히 일치한다.이것은
우연
의 일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수면인자가 뇌에 동시적인 파동을 통해 도달할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즉 REM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뇌가 필요하지만 "우리가 아는 한에 있어 non-REM수면 면의 경우는 건강한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는 영화 쥐라기공원이 시작되기 하루 전이었다. 이들은 이같은 시기의 일치는
우연
이라고 밝혔다.이 연구에 참가한 캘리포니아 종합기술대의 라울 카노박사는 "공룡의 유전자를 증식시킨다는 것은 아주 먼 이야기다. 아마도 불가능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적어도 공룡이 살았던 시기의 DNA를 ... ...
3. 혈액형따라 성격·질병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반영된다고 해석했다.그러나 이듬해에는 이에 대한 비판논문이 게재되어 이 통계는
우연
의 산물이고 일관성이 없으며 유전자의 능력에서 원인을 찾을 정도의 수치는 아니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네이처'지에서는 더이상의 논의는 없었던 듯하다.수혈의학을 비롯한 다른 의학분야에서는 혈액형과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고속전철 비행기 등과 같이 빨리 달리는 제품들이 모두 유선형태를 갖고 있음은 결코
우연
이 아니다. 공기의 저항을 가장 적게 받으면서 빨리 달릴 수 있도록 하려는 외적인 요인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모든 내적 요인을 합리적으로 조절하려는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비행체의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카메라 파인더상의 물체를 여러번 반복하여 눈을 뗏다 붙였다 하면서 초점을 맞추고
우연
을 기대하는 수 밖에 없어, 적당히 초점이 맞은 사진과 타협을 하는 수 밖에 없었다.정확하고 손쉽게 초점을지금부터 서강대학교 아마추어 천문반 '별' 소속의 연구 개발부에서 제작한 'SL형 접안렌즈'의 구조를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체계적인 고급학문이란 것을 처음 알았지요"그 연구실에 들어가기까지는 몇가지
우연
도 작용했겠지만 그만큼 그가 인정받는 연구원이었다는 말도 될 것이다. 박사과정에서 연구한 탄수화물의 응용분야가 핵산이었고 MIT 연구실에서는 바로 이 핵산을 연구 했다. 그곳에서 그는 '우리나라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