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뉴스
"
cell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생아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돕는 ‘안전장치’가 있다. 이 안전장치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다. 조절 T세포는 체내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대신 오히려 억제해 면역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양시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공동으로 조절 T세포 중에서도 자가면역질환에 ... ...
영화 ‘인셉션’처럼, 쥐에 인공 기억 이식
2015.03.10
우리가 장소를 인식하는 것은 뇌에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인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
)’가 각 장소마다 다르게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장소세포를 ‘몸안의 GPS’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구팀은 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안에 원, 네모 그리고 별 모양의 방을 만들었다 ... ...
몸에 안 좋다는 소금, 피부병엔 탁월?
2015.03.04
피부에서 나트륨 축적률이 높은 현상을 확인하고 생명공학 분야 학술지 ‘셀 대사(
Cell
Metabolism)’ 3일자에 게재했다. Pixabay 제공 잔스키 교수팀은 실험용 생쥐를 키우던 중, 다른 생쥐에게 물려 오른쪽 다리에 상처가 난 생쥐를 조사해 보니 상처부위의 나트륨 농도가 높아진 현상을 발견했다. 쥐의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상대방의 결정을 의식할 때 활성화되는 뇌세포군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셀(
Cell
) 제공 실험 결과 원숭이들의 선택은 34.7%가 협력이었다. 둘 다 협력을 선택한 경우는 17.1%였다. 특히 상대방이 이전 게임에서 배신을 한 경우 협력을 선택하는 경향은 26%로 크게 낮아진 반면 서로 협력을 선택한 경우 ... ...
파검 vs 흰금 드레스 논쟁…끝나지 않은 의문
2015.03.01
세 가지 색을 조합해 일상에서 보는 수많은 종류의 색을 인식합니다. 망막의 원추체(cone
cell
)라는 세포가 그 역할을 하는데요. 세 종류의 원추제가 RGB를 각각 인식하게 됩니다. 이때 원추체는 로돕신(rhodopsin)이라는 색소 단백질을 이용합니다. 로돕신은 밝은 환경에서 더 작은 분자로 분리돼 없어지는 ... ...
‘스트레스 불임’ 과학적 근거 찾았다…“정자 방출 시간이 달라”
2015.02.22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3대 학술지 셀(
Cell
)의 자매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2월 20일자(한국시각)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국내 과학자, 세계 3대 저널 자매지 초대 편집위원 선임
2015.02.09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51·사진) 특훈교수가 새롭게 창간될 국제 학술지 ‘셀 시스템스(
Cell
Systems)’의 초대 창간 편집위원에 선임됐다고 9일 밝혔다. 셀 시스템스는 과학계 3대 저널로 꼽히는 세계적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셀’의 자매지로, 올해 7월 공식 창간된다. 셀 측은 이 교수를 초대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주입해 모두 6개의 복제배아를 만들어냈다. 그는 이 연구 결과를 2013년 과학전문지 ‘셀(
Cell
)’에 발표하면서 일약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라섰다. 과학 잡지 네이처가 ‘2013년을 빛낸 과학계 인물 10명’ 안에 그를 꼽기도 했다. 그가 한국에 왔다는 소식을 듣고 만나보려 했던 것은 세계 줄기세포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인간의 정자와 난자의 모체라 할 수 있는 시원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
)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성공한 사례는 있었지만 인간의 시원생식세포를 인위적으로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원생식세포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발생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세포유착분자(
cell
adhesion molecule,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