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뉴스
"
cell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효과적인 천연단백질을 발견하고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과 질병(
Cell
death and disease)’에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당시 동물실험 결과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한 쥐에게 이 천연단백질을 투여하자 퇴행성 뇌질환의 진행이 예방되는 것은 물론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네이처’ 논문은 이 기법 자체보다는 이 시스템을 사람의 조혈줄기세포(haematopoietic stem
cell
)에 넣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혈줄기세포가 외부 물질을 잘 받아들이지 않아 그동안 애를 먹었다고 한다.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와 동료 연구자들은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소식’ 6월호에 ... ...
담배잎으로 치매를 고친다고?
과학동아
l
2014.03.13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해 ‘네이처’ 자매지 ‘세포 사멸과 질병(
Cell
death and disease)’ 1월 30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담배 잎에 염분을 가한 뒤,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천연 단백질 ‘오스모틴’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추출한 단백질을 퇴행성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이용해 실험용 쥐의 청각유모세포를 재생하는 데 성공하고 ‘줄기세포 리포트(Stem
cell
reports)’ 온라인판 20일자에 발표했다. 우리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달팽이관 속 청각유모세포(hair
cell
)가 음파의 진동을 신경신호로 바꿔주기 때문. 문제는 양서류나 파충류와 달리 포유류는 한 번 훼손된 ... ...
식물 속에 '비밀' 통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셀’의 자매지 ‘디벨롭멘탈 셀(Developmental
cell
)’ 온라인판 27일자에 발표했다. 식물이 햇빛을 향해 자라는 이유는 옥신이 빛을 피해 반대쪽에 몰려들기 때문이다. 옥신이 성장을 촉진해 빛과 반대쪽인 부분이 상대적으로 빨리 자라기 때문에 식물이 ... ...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복제한 배반포(왼쪽)와 배반포에서 얻어낸 줄기세포. -
Cell
제공 2005년 12월은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잔인한 달이었다. 서울대 황우석 수의학과 교수가 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한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 논문의 조작 사실이 탄로났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 ...
“3대 과학학술지 폭정”… 노벨상 셰크먼 교수 논문 게재 거부
동아일보
l
2013.12.11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랜디 셰크먼 교수(65)가 네이처(Nature) 셀(
Cell
) 사이언스(Science) 등 세계 3대 과학 학술지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셰크먼 교수는 9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3대 학술지가 권력화됐다. 과학계가 이들 학술지의 폭정(tyranny)을 반드시 ... ...
달 탄생 기원 ‘금성’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발현하면 빛을 내도록 마커를 붙이는 최신 기술 덕분에 ‘단일세포 생물학(single
cell
biology)’라는 새로운 분야가 열렸다. 기존에는 세포를 집단 단위로만 분석할 수 있었다면 이제는 세포 하나하나를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일란성 쌍둥이라도 미세한 차이가 있고, 환경이 다르면 ... ...
암 발생 근본적으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배석철 교수 - 충북대 제공 우리나라가 주도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암세포 생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문지기 유전자’를 찾아냈다. 충 ... 막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분야 권위지 ‘캔서셀(Cancer
Cell
)’ 온라인판 11일자에 실렸다. 충북대 ... ...
신혼부부가 밥보다 중요하다는 것,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지느러미를 잘 재생하지 못하는 까닭은 생존 대신 번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 Developmental
cell
제공 사람은 다쳤을 경우, 상처가 아무는데 꽤 시간이 걸린다. 심지어 아차하는 순간 손가락이 잘렸을 경우 도마뱀 꼬리나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자라는 일은 결코 발생하지 않는다. 자연의 기준으로 볼 때 ... ...
이전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